
문화관광도시를 표방하는 시흥시가 문화관광을 전담하는 국(局)이 없어 유연성이 부족하는 지적(2월19일자 8면 보도)이 제기된 가운데 이번 행정기구 개편에서도 문화관광 전담 국 관련 조직개편이 무산됐다.
9일 시에 따르면 10일부터 개최되는 시의회 임시회 안건으로 ‘시흥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했다.
행정기구 개편 주요내용은 시흥시 지방공무원 총수를 현행 1천848명에서 18명이 늘어난 1천866명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시청 1천814명(16명 증원), 시의회 사무국 36명(2명 증원)이다.
직급별비율도 5급 현행 8% 이내에서 7% 이내, 7급 35% 이내에서 33% 이내, 8급 26% 이내에서 29% 이내로 하위직급 비율을 높였다.
하지만 이번 개편에서는 국 체제 변경없이 건축허가과와 건축관리과 분리, 세정과와 시세관리과 분리, 환경정책과와 기후에너지과 분리 등 3개 과 신설체제에 그쳤다.
시흥시는 경기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인구 규모 11위로 가파른 인구 증가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경기도로부터 승인받은 2040 도시기본계획 인구가 69만5천여 명으로 각종 택지개발에 따른 개발수요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문화관광 인프라 지원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이를 대응할 문화관광 담당 조직기구가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현재 시의 문화관광 기능은 경제국에 과(문화예술과, 관광과)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공직사회 내부에서조차 현실에 맞는 조직개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흥시보다 인구가 많은 자치단체는 물론이고 오히려 인구가 적은 파주시도 문화교육국(관광과), 광명시 경제문화국(문화관광과), 여주시 문화경제국(관광체육과), 양주시 복지문화국(문화관광과) 등 문화관광을 주력으로 하는 국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더욱이 내년말까지 한시기구인 도시균형개발사업단의 국체제 변경이 불피가피한 상황에서 전반적인 국 기구개편이 절실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기구개편은 세무, 건축 행정 수요증가에 따른 과 체제 개편이고 국 기구 변경은 하반기 심도있는 논의를 거쳐 연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