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신도시개발과 철도신설 등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개편에 나선다. 대규모 개발사업 증가에 따른 사업부서 인력 보강으로 효율적인 인력 운영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0일 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광명시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시는 민선 8기 시장 공약사업 및 주요 정책사업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을 재배치하겠다는 설명이다.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신도시개발사업단을 정식기구로 전환하고, 안전건설교통국 내 철도교통과를 신설하는 내용이다.

우선 현재 11개 국·소, 71개 담당관·과·소 규모에는 변화가 없으나, 257개 팀에서 252개 팀으로 일부 팀의 통합작업이 이뤄진다. 대표적으로 징수과는 세정과와 통합되며, 평생학습사업본부 내 도서관마다 운영되던 팀들이 거점도서관을 중심으로 통합된다. 기획조정실 내 탄소중립관리팀과 지속가능발전팀도 조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눈에 띄는 변화는 기존 도시주택국 내 스마트도시과와 도시재생과가 신도시개발국으로 이관돼 신도시조성과, 도시개발과, 균형개발과와 함께 광명시의 발전을 견인한다는 구상이다.

기존 도시주택국 내에는 주택정책팀이 신설되고, 건축허가와 건축지도, 녹색건축지원센터는 신설되는 건축과 내에서 업무를 시작한다.

앞서 지난달 25일 박승원 시장의 ‘철도 네트워크 중심도시’ 선언으로 예고된 바와 같이 철도정책팀도 철도교통과로 강화해 철도 네트워크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철도정책팀, 철도사업팀, 주차시설팀 등 3개 팀으로 구성된다.

시 관계자는 “행정여건 변화에 따라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직개편”이라며 “6월 광명시의회 정례회에서 통과되면 인사 등 후속 작업을 마무리한 뒤 7월 중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