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500여명 탄원서 시에 전달

… “투명하고 체계적 운영 필요”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에서 보호되고 있는 유기 반려동물이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 자원봉사자 제공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에서 보호되고 있는 유기 반려동물이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 자원봉사자 제공

보호 강아지 유실 지적이 제기됐던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 위탁업체가 결국 계약해지 통보(5월10일자 6면 보도)를 받은 가운데 하남시민들이 유기동물보호소의 시 직영 운영을 촉구하고 나섰다.

17일 하남시와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 자원봉사자 등에 따르면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10일부터 11일 양일간에 걸쳐 모인 시민 500여 명의 시 직영 체제 전환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은 탄원서를 지난 13일 하남시청에 전달했다.

하남시유기동물보호소는 계약 해지를 앞둔 A업체가 운영을 맡기 전까지만해도 유기동물 입양률이 경기도 평균 35%(2022년 기준)의 두배 가까이되는 69%에 달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시와 대행계약을 맺은 A업체가 운영을 맡은 후 입양률은 34%로 절반이 넘게 하락했다.

이에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A업체의 계약 해지 목소리가 높게 일었고 시는 지난 1일 A업체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당시 시는 자원봉사자들이 탄원서를 통해 제기한 ▲전원 출입 통제 및 입양홍보 중지 ▲보호 강아지 유실 및 은폐 ▲미입소 반려동물 시스템 등록 및 입양처리 등의 문제 가운데 ▲민원 지연 조치에 따른 지시감독 미이행 ▲포획 동물 입소 지연 ▲보호동물 유실 후 지연보고 등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계약 해지를 결정했다.

시는 다음달 7일 A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곧바로 후속 위탁업체 선정 절차에 돌입한다는 계획이지만 자원봉사자들은 또 다시 부적절한 위탁업체가 선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직영 체제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자원봉사자들은 “민간위탁으로 운영되는 유기동물 보호소의 경우 많이 포획하고 안락사시킬 수록 ‘돈’이 되는 구조로 운영되다보니 동물보호 보단 돈벌이에 우선이 될 수 밖에 없다”며 “반면 보호소가 직영 체제로 전환될 경우 이익 구조보단 동물보호와 구조에 우선시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투명하고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해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농림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280곳 보호센터 중 228곳이 민간위탁(2020년 기준) 운영 중이지만 경남 고성과 대전시 등 다수의 지자체가 직영 운영 전환했거나 전환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