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등 강사료 인상분은 빠져
지역정가, 기준 이해불가 목청


의왕시가 전례 없이 추가경정예산안의 30% 가량을 삭감한 의왕시의회를 향해 강한 유감을 표시(5월20일자 8면 보도=의왕시, 개청이래 최대규모 추경삭감 '유감')한 가운데, 시를 비롯한 지역정가에서 예산 삭감 기준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원 사무실내 모니터 구입과 의원실 리모델링 추진에는 비용을 아끼지 않는 반면, 의왕도시공사 노동조합으로부터 반발을 산 초단시간 근로자 급여 관련 예산 등은 삭감했기 때문이다.

20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1차 추경에서 당초 공사의 수영·아쿠아·에어로빅·안전요원 등 초단시간 근로자의 예산안은 17억2천만원이었다. 하지만 심의 과정에서 수영 등 강사료 인상분 2억1천400여 만원이 잘렸고, 집행부 하위직 공무원 중심의 '하나로 캠프' 예산 1억8천만원은 전액 삭감됐다.

공사 초단시간 근로자 인건비의 경우 지난해 12월 본예산안 심의에서 5개월분만 책정한 뒤 올해 1차 추경을 통해 강사료 인상분을 반영키로 했는데, 공사 행정사무조사를 재진행해 인상 여부를 결정하기로 최종 결정됐다. 이 때문에 고용 불안으로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강사들이 있어 수강생들의 자유수영 일정이 늘어날 수밖에 없게 됐다.

또한 올 상반기 3차례 공무원 1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하나로캠프의 하반기 재추진도 불발됐다. 지난 3년여 간 코로나19로 미흡해진 소통·단합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돼 좋은 반응을 보였던 행사였다.

반면 기존 의원실 2곳(의장·부의장실 등)이 시 증축동으로 이전하면서 확장 리모델링을 실시했는데, 시의회는 올해 본예산과 추경 예산에 관련 비용으로 2천만원과 8천만원을 각각 책정했다. 의원실별 모니터도 구입할 계획이다.

이 같은 시의회의 예산 삭감·배정 행태에 시 안팎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노동 약자의 급여나 조직의 단합 등도 중요한 사안인데 뒷전으로 밀리고 의원실 리모델링이나 모니터 구입 등 시의회 관련예산만 챙기는 양상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태흥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초단시간 근로자 급여 문제는 7월까지 계획된 행정사무조사특위에서 마무리할 것이고, 하나로캠프는 본예산 심의에서 5년간 추진할 계획이라고 시에서 보고하는 등 (갑자기 하반기 일정을 잡는 것에) 행정의 일관성을 보일 필요성에 의해 삭감했다"며 "의회 리모델링 비용 책정에 다소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올 수 있어 예산 집행여부를 더 고민하겠다"고 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