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선언 통해 국제정세 속 대안 살펴


■ 황해문화 2024년 여름호(통권 123호)┃새얼문화재단 펴냄. 400쪽. 9천원

'황해문화' 2024년 여름호
문제는 '두 국가'가 아니라 '적대와 충돌'이다. 황해문화 2024년 여름호(통권 123호)에서 하남석(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 편집위원이 쓴 권두언 제목이다.

황해문화 제123호는 '북한의 두 국가론 선언,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제목의 특집을 기획했다. 이번 호 특집에서 북한의 '두 국가론' 선언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나온 것인지 남북관계와 국제정세의 긴 흐름 속에서 파악해보고, 평화를 향한 우리의 대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는지 살폈다.

지난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역임한 김연철 인제대 교수의 '남북기본합의서에서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남북 관계사 30년'은 이번 특집의 총론 격이다. 지난 30여년 간 남북관계의 변천을 정리한다. 또 현재 직면한 위기를 해석할 수 있는 여러 요인을 제기한다.

박희진 동국대 북한학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왜 적대적 두 국가를 선언했는가: 북한 내부의 변화와 위기로 살펴본 두 국가론'에서 2012년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북한 내부의 경제 상황과 정치사회적 변화를 세세하게 추적했다. 러시아 전문가인 성원용 인천대 교수는 '북러 관계 변화의 동인과 북중러 삼각 체제 전망'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을 좀 더 냉철하게 다각도로 분석한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는 '탈북한의 상상력: 다시, 더 좋은 평화의 시작을 위하여'에서 북한이 2023년 7월부터 남측을 '대한민국' 또는 '한국'이라고 부르면서 자신들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또는 '조선'으로 불러달라고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우리도 이를 수용해 이제는 북한이 아니라 '조선'이라고 불러주자고 제안한다. 이는 완전히 두 국가로 갈라서자는 주장이 아니라 평화공존의 출발점이 상호 인정에 있다는 점에 주목해 서로의 수용성을 높여보자는 새로운 제안이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