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판교·복정동하수처리장’ 2곳뿐
2·3TV용 증설 및 기존 규모로 이전 추진
재건축따른 추가 하수 수용 사실상 곤란
오는 25일 선도지구 공모를 시작으로 ‘특별법’에 따른 1기 신도시 재정비가 본궤도에 올라선다.
성남시 등 관계기관들은 규모가 가장 큰 분당은 8만4천가구를 대상으로 오는 2040년 재건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많게는 50%(4만2천가구) 이상 가구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수도, 도로 등 기반시설 역시 큰 변화가 불가피한데 분당 재건축은 기존 도시 건설과 다르게 밀도계획을 먼저 짜놓고 거기에 맞춰 기반시설을 설계하는 상황이다.
또한 일정대로라면 오는 8월 주민공람 절차가 진행돼야 하는 기본계획(분당 재건축 마스터플랜) 자체가 늦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당 재건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분당 재건축 과제 중 하수도, 도로 및 기반시설, 이주대책(단지) 등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분당 재건축에 따른 여러 기반시설 중 하수 문제는 자칫 ‘하수대란’을 우려해야 할 정도로 시급히 대책이 마련돼야 할 사안이다. 기존 하수처리장들로는 늘어날 하수 처리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성남에는 ‘판교하수처리장’과 ‘복정동 성남하수처리장(성남수질복원센터)’ 등 2개의 하수처리장이 가동되고 있다.
‘판교하수처리장’은 처리용량 4만7천t급으로 판교 지역 하수만 처리한다. 현재 2만t급 규모의 하수 처리 시설을 증설하는 공사가 진행 중인데 이는 판교제2·3테크노밸리 건설 등 판교지역 신규 개발에 따라 늘어나는 하수 처리를 위해서다.
2019년 8월 용역을 시작으로 행정절차를 거쳐 지난 6월 착공, 준공 예정일은 내년 12월이며 이번 증설로 판교하수처리장에는 추가 증설할 공간이 더 이상 없게 됐다.
복정동 성남하수처리장은 처리용량 46만t급 규모로 판교를 제외한 성남 전역의 하수를 처리하고 있다. 1992년 준공 당시 1일 처리용량이 34만t 규모였으나 하수찌꺼기 증가에 따라 세 차례 증설을 거쳐 현재의 규모로 변경됐다.
시는 성남하수처리장의 노후화로 악취 민원·가동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태평동 7004번지 일원으로 이전한 지하화·현대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임 시장 당시인 2020년 2월에 ‘2026년 건립’을 목표로 민자투자사업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 발표됐고 총 사업비는 7천억원 규모다.
하지만 신상진 시장이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중단됐다가 2023년 2월부터 본격적인 행정절차를 밟기 시작했고 완공 목표는 당초보다 4년 연장된 오는 2030년으로 늦춰졌다.
이전·신설되는 하수처리장은 기존처럼 46만t급 규모로 계획됐다. 문제는 현재의 성남하수처리장은 여유 용량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이전·신설 하수처리장 역시 같은 규모로 계획돼 분당 재건축에 따른 추가 하수 수용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시 관계자는 “현 성남하수처리장의 여유 용량이 거의 없고 이전·신설해도 마찬가지다. 민간제안사업으로 추진되는 까닭에 규모를 확대하기도 쉽지 않다. 판교하수처리장 역시 더 이상 규모를 늘릴 수 없다”며 “현재로서는 분당 재건축에 따른 추가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 부지에 추가로 하수처리장을 신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황이 이런데도 현재까지 하수처리장 추가에 대한 논의는 진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분당 재건축 기본계획(마스터플랜)이 늦어지는 것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초 국토교통부에서 지난달까지 기본계획 수립의 기본 방침을 결정·전달키로 했는데 아직까지 소식이 없어 사는 애를 태우고 있다.
분당 재건축에 따른 하수처리장 증설은 불가피하고 서둘러야하는 사안이다. 특히 추후 추진하더라도 부지 확보·환경부의 추가 배정 허용 등 행정절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자칫 ‘하수대란’이 초래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는 배경이다.
하수처리 시설과 더불어 하수관로 확장도 과제다. 분당지역 하수는 각 동에서 야탑점 등 분구에 1차로 모아진 뒤 최종적으로 탄천차집관로를 거쳐 수질복원센터로 향한다.
관로는 하수 특성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설치돼 있어 초입인 분당동 관로는 지하 2m 이내에 묻혀 있지만 탄천 쪽은 4~5m 이상도 있다. 여기에 분당은 지역난방 공급에 따른 열공급 관로도 전역에 묻혀있다.
하수 관계자들에 따르면 하수관로가 깊이 매설돼 있을수록 도로 위 공사지역이 넓어져 그만큼 교통체증이 발생하고 비용(주민 분담금)도 늘어나며, 열공급관과 겹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엔 상황이 더욱 복잡해진다고 한다. 이 같은 문제와 관련해 시 관계부서 등에 문의했지만 답변은 오지 않았다. 하수관로와 관련된 방향이 아직 수립되지 않았다는 반증으로 관계기관 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사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분당 재건축 담당 시 관계자는 “기반시설 중 하수도가 가장 문제다. 현실적으로 시설 증설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문제가 없도록 이전·신설 하수처리장을 활용하는 방안 등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며 “증설, 하수관로 문제 모두 어떤 식으로든 마스터플랜에 담겨야 한다. 하수시설 총량 변경 등은 지차체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닌 만큼 기본방침과 더불어 국토부, 환경부 등 정부의 신속한 협조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