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의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시민들이 머리를 맞댔다.
광명시는 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환경교육 청(聽)책 토론회’를 열고 환경활동가, 환경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중립의 성공적 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이 직접 발제자로 나서 광명시의 탄소중립 정책과 노력, 그간의 성과를 소개하고 탄소중립의 성공적 실천을 위해 시민의 환경교육 일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환경교육도시로서 탄소중립 실천력을 높이기 위해 시민 일상에 환경교육을 자리 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환경교육을 비롯해 탄소 흡수원인 정원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하고, 환경활동가, 환경단체 등 시민들과 공감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박승원 시장과 함께 발제자로 나선 김인호 국가환경교육센터장은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도시의 방향’을 주제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환경교육과 환경실천행동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패널로 참석한 김남수 국토환경연구원 부원장과 정수정 한국환경교육연구소장, 하지원 (사)에코나우 대표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는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시가 올해 새로 도입한 ‘청(聽)책토론회’의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환경교육도시인 광명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 2021년 광명시 5개년 환경교육계획을 수립하고 2022년부터 환경교육도시 추진단 구성, 환경교육 전담부서 신설, 탄소중립도시 선언, 환경교육센터 개소 등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 2023년 10월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