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내·호평 "예산 낭비안 강행"
다산동 "남양주시 현명한 판단"
기존 예정지·변경지 상반 반응
남양주시가 왕숙천 하수처리시설 건설사업을 원안대로 추진(6월4일자 9면 보도=남양주, 왕숙천 유역 하수처리장 신·증설 본격)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기존사업 예정지와 변경추진 예정지 주민들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기존 예정지인 평내·호평 주민들은 '예산낭비'라며 반발하는 반면, 다산동 일대 주민들은 일제히 환영 입장을 내보이면서 민-민 갈등이 가시화될 조짐이다.
6일 남양주시와 평내·다산동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평내동에 하수처리용량 4만1천t 규모의 하수처리장 신설을 추진한다.
앞서 시는 지난해 9월 시정조정위원회에서 기존 평내동이 아닌 왕숙신도시에 하수처리장을 설치하는 방안을 재검토한 바 있다.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조사결과와 시 하수처리과 자체 분석을 통해 평내동(민자투자사업) 신설시 20년간 470억원 상당의 손실과 토지보상비 등 총 700억원 상당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이유였다.
이에 왕숙지구와 인접한 다산동 일대 주민들은 집회와 국민신문고 집단민원 등으로 즉각 반발했고, 시의회는 10년만에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업 변경 추진 원인 규명에 나서는 등 수개월간 진통을 겪기도 했다. 결국 시는 사업변경 추진 9개월여 만에 원안인 평내하수처리장 민간투자신설사업으로 결정했다.
그러나 기존 예정지 평내·호평동 시민단체와 지역 정치인들은 전문기관과 감사원의 '예산낭비' 의견을 무시한 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홍종식 평내호평 발전위원장은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인데 갑작스런 시 발표에 굉장히 불쾌한 심정이다. 민간투자사업(평내동 건설) 시 세금 740억원이 소요되는데 시민을 위한 행정이 맞느냐"고 따져 물었고, 박은경(평내·호평) 시의원도 "불필요한 시민 세금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사업을 강행한다면 결정권자가 그 비용도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다산신도시총연합회 측은 "남양주시의 현명한 판단을 환영한다"는 상반된 입장을 밝혀 추후 민·민갈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사무조사·자체감사 결과를 토대로 시정조정위원회 자문을 구한 결과, 행정의 일관성, 왕숙지구 입주시기 등을 고려해 원안 추진이 적정하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원인자부담금 협의를 통해 남양주시 손실이 없게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불거질 민민갈등은 자세한 설명으로 이해를 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양주/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
주민 희비 가른 '왕숙하수처리장 건립' 원안회귀
입력 2024-06-06 19:03
수정 2024-06-06 19:0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6-07 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