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재 숭실대 교수 '20번째 단독 저서'
4부 구성… 춘원 이광수의 진실 등 다뤄

■ 한국현대문학과 사상의 사계┃이경재 지음. 역락 펴냄. 416쪽. 3만5천원


한국현대문학과 사상의 사계
한 시대의 사상을 표상한 문인과 문학작품을 다룬 학술서 '한국현대문학과 사상의 사계'가 출간됐다.

책 제목으로 쓰인 '사계'(四季)는 일본의 문예평론가·사상가 가라타니 고진의 '역사와 반복'에서 착안했다. 저자인 이경재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역사로부터 배태돼 나오는 사상 역시 반복을 구조적 속성으로 삼고 있을 것이란 생각에 사상의 반복성을 사계절에 비유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다룬 문인들은 모두 자신이 대면한 시대나 문학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저자는 그들의 문학이 지금까지도 성찰되는 이유는 그들이 보여준 시대나 문학에 대한 응전이 나름의 무늬를 남겼기 때문이라고 했다.

책은 4부로 구성됐다.

1부는 춘원 이광수를 다룬 '이광수의 진실을 찾아서'다. 민족주의자에서 반민족주의자로 돌아선 이광수는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전개에 결정적 기여를 했지만, 한국 근대문학의 어둠도 온몸으로 구현한 존재다.

2부 '근대를 넘어서려는 정치적 기획'은 근대의 핵심적 문제를 사회주의를 통해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작가 신채호, 한설야, 임화, 이병구 등을 조명한다.

3부는 한국 현대문학에 엄연히 존재하는 유토피아 지향성을 살핀 '이상향에 대한 갈망'이다. 저자가 조명한 유토피아는 공상에 바탕한 현실 도피가 아닌 강렬한 현실 저항의 힘을 지닌 정치적 개념에 가깝다. 일제 말기 문제적 작가 이효석과 김사량, 손장순의 산악소설과 이민진의 데뷔작을 고찰했다.

4부 '삶의 기층에 대한 탐구와 중시'는 한국 현대문학에서 발견되는 보수주의를 주목했다. 보수주의는 아직 문학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탐구된 바 없다. 저자는 삶의 본바탕에 대한 성찰을 보여준 국어학자 남광우의 수필과 김훈의 소설이 보수주의에 부합한다고 본다.

이 책은 왕성한 연구활동과 평론으로 널리 알려진 이경재 교수의 20번째 단독 저서다. 저자는 한국 문학의 사상을 탐구한 이번 책을 필생 과제인 한국현대문학사 연구의 시론으로 삼고자 한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