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지정단지 없지만, 관련 기업 유치 나서

재지정 공모 대비… 산업시설 확보 노력 강구

고양시청 전경
고양시청 전경

고양시는 28일 그동안 시가 시민 및 전직원이 역량을 모아 강력히 가 추진해 온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무산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고양시는 지난해 10월 착공한 일산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해 향후 있을 수 있는 오가노이드(재생치료제) 분야 추가공모에 대비해 철저한 준비를 추진키로 했다.

시는 암-오가노이드 기술 분야의 기반 구축을 위해 국립암센터 등 관내 6개 대형병원과의 협업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올해 말 토지공급이 예정된 일산테크노밸리의 입주기업 다양성 확보와 용지 분양성 제고를 위해 지난해 12월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했다.

더불어 43개 기업의이 참여하는 총 5천348억 원에 달하는 투자의향을 확보하는 등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양시는 27일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서 제외됐다.

다만, 이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발표에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로 선정된 지역은 단 한 곳도 없다.

선정된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 5개 지역 모두 바이오 의약품 분야다. 현재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가 R&D에 치중해 있고, 국내 생산기반과 산업생태계가 약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그동안 확보된 오가노이드 분야 기업의 입주·투자 의향이 실제 입주·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재 적립된 470억원의 투자지유치기금을 활용해 입지·고용·교육훈련 보조금을 지원하고, 바이오 콤플렉스 건립 등을 통해 기업의 안착을 적극적으로 돕는다는 입장이다.

고양시 자족도시실현국 최영수국장은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신규 국가첨단전략기술로 검토하고 있는 미래차·로봇·방산 등의 분야에도 시의 지정가능성 및 차별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시는 지난해 반도체 분야에 이어 이번 바이오 분야까지 두 번의 아픈 실패를 경험했다”며 “그간의 노력을 통해 고양시의 산업육성 방향과 잠재력 등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시는 현재 추진 중인 경제자유구역뿐만 아니라, 신규 지정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기회발전특구, 평화경제특구에도 지속적으로 도전해 도시규모에 걸맞은 산업시설과 자족기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