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도시지원센터' 설립 뿌듯… 주거·교통·일자리창출 힘쓸것


'1호 결재' 1기신도시 지원 기구
노후계획도시 특별법 탄생 '기억'
47번국도 지하화·신분당선 연장등
정부부처 부지런히 협조 구할 것

하은호 군포시장
하은호 군포시장은 "지난 2년을 돌이켜보면 아무 생각 없이 오로지 '군포의 재평가'에만 매진해왔다"고 말했다. /군포시 제공

2024071701000202200019403
비를 좋아하는 하은호 군포시장은 2년 전부터 비가 오면 근심이 앞섰다. 2022년 7월 취임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큰 비가 내려 군포시 일대에 침수 피해가 컸기 때문이다.

시작은 마음처럼 쉽지 않았다. 날씨 문제만 그런 것은 아니었다. 군포시 상황이 전반적으로 그랬다. 작은 도시는 삶도, 죽음도 무엇 하나 수월하지 않았다. 지역 전반이 노후화돼 주거 재정비 수요가 산적했고 지상을 관통하는 철도 역시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묻어있었다.

취임하고 2년. 쌓인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내는데 하 시장이 매진해온 이유다.

군포의 가치는 지금 평가받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는 믿음이 강했기 때문이다.

하 시장은 "시장이 되기 전부터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운이 좋게도 우리 지역에 간절하게 필요했던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나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탄력을 받게 됐다. 열망을 가지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년을 돌이켜보면 아무 생각 없이 오로지 '군포의 재평가'에만 매진해왔다. 단기에 이뤄지긴 어려워도 지금 토대를 만드는 게 중요하니까 열심히 해왔다"고 회고했다.

이런 점과 맞물려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이 만들어진 점, 1기 신도시가 소재한 5개 지자체 중 군포시에 미래도시지원센터가 들어섰던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라고 했다. 그의 1호 결재 역시 1기 신도시 지원기구를 만들라는 지시였다.

하 시장은 "시장이 되기 전부터 필요성을 역설해왔고 여론 형성에 주력해왔다. 그런 노력이 실현돼 단적으로 나타난 게 특별법과 미래도시지원센터다. 기억에 많이 남고,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4071701000202200019402
지난 1월 군포시청에서 하은호 군포시장,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주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군포시 미래도시지원센터 개소식이 열렸다. /경인일보DB

지난 2년간의 시정 만족도를 점수로 묻자 그는 "스스로는 10점 만점이면 10점을 주고 싶다. 다만 공무원들과의 소통 측면에선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어서 남은 기간 소통에 더 힘쓰려고 한다"고 밝혔다.

임기 후반기엔 지금까지 주력해온 주거 환경 개선 문제 등에 더해 47번 국도 지하화와 신분당선 연장 등 교통 개선과 일자리 창출에 보다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각 정부부처에도 부지런히 협조를 구할 계획이다. 지금 당장 열매를 얻진 못하더라도 씨앗을 심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게 그의 신념이다.

하 시장은 "얼마 전에 누군가 수리산에 단풍나무를 가득 심자는 제안을 해왔다. 50년 장기 계획을 갖고 한 그루씩, 한 그루씩 심다보면 어느새 단풍으로 덮여 아름다운 산이 될 것이다. 긴 안목과 계획을 갖고 지금 씨를 뿌려놓는 게 중요하다. 도시를 위해 필요한 것은 그런 것이다. 대단한 성과가 아니더라도 아주 나중에 '하은호라는 시장이 있을 때 처음 했다' 그런 말을 들을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치 않겠나"라고 했다.

가장 첫 번째 나무를 심는, 하 시장은 그런 시장이다.

군포/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