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부상 심각" 올림픽 불참 의사도

2024 파리 올림픽에서 28년 만에 배드민턴 여자 단식 금메달이 나온 기쁨도 잠시, 주인공 안세영(22·삼성생명)이 대한배드민턴협회(이하 협회)를 향해 작심 발언을 쏟아내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올림픽이 끝나는 대로 경위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배드민턴 여자 단식 세계 랭킹 1위 안세영은 지난 5일(이하 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포르트드 라 샤펠 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세계 9위 허빙자오(중국)를 2-0(21-13, 21-16)으로 물리치며 정상에 올랐다. 이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방수현 이후로 28년 만에 여자 단식에서 나온 금메달이었다.
하지만 안세영은 이날 경기 직후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선수 부상 관리, 선수 육성 및 훈련 방식, 협회의 의사결정 체계 등과 관련해 협회를 겨냥한 내용이었다.
안세영은 지난해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무릎을 다쳤다. 첫 검진에선 2주 재활 진단이 나와 큰 부상이 아닌 줄 알았지만 재검진에서 슬개건(무릎 인대) 부분 파열이 확인됐고, 짧은 시간 내에 좋아질 수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특별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었지만 부상 이후 방치에 가까울 정도로 협회의 관리가 소홀했다는 게 안세영의 주장이다. 실제 이런 과정에서 안세영은 지난 1월 협회에 자신의 요구사항을 담은 의견서를 보냈고, 이번 올림픽에 출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세영은 "제 부상은 생각보다 심각했고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 대표팀한테 조금 크게 실망했었다. 이 순간을 끝으로 대표팀이랑은 조금 계속 가기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밝혔다.
협회의 선수 육성 및 훈련 시스템에 대한 불만도 토로했다. 단식과 복식이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감독과 코치가 나뉘고 훈련도 맞춤형으로 이뤄져야 하지만, 좋은 성적을 내는 복식 위주로 맞춰져 있다는 게 주장의 요지다.
안세영은 "(역대 최고 성적을 기대했던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이 하나만 나온 걸 좀 돌아봐야 할 시점이지 않나 싶다"면서 "배드민턴도 양궁처럼 어느 선수가 올림픽에 나가도 메달을 딸 수 있으면 좋겠다. 선수에게 '이번이 기회다'라고 말할 게 아니라 꾸준한 기회를 주면서 관리해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아직까지 협회가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 않는 가운데 문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경위 파악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도 이번 사안을 윤석열 대통령이 보고받았다고 전했다.
문체부 측은 "올림픽이 끝나는 대로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개선 조치의 필요성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다른 종목들도 선수 관리를 위해 개선할 점이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