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의회 전경. /양주시의회 제공
양주시의회 전경. /양주시의회 제공

양주시의회 파행(8월21일자 8면 보도)이 장기화되면서 시민들의 비판이 거세지는 가운데 파행의 원인인 원 구성을 두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양측 주장만 내세우고 있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시의회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4대 4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시의 회 의원들은 지난 6월 후반기 첫 임시회에서 원 구성 문제로 충돌한 이후 지금까지 어떠한 합의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양당 의원들이 비공식 경로로 협의를 타진했으나 양측의 주장이 처음과 달라진 게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측은 상호신뢰를 내세우며 민주당 측이 주장하는 전반기 합의 이행을 위해서 이에 준하는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양당이 전반기에 한 합의는 상호신뢰를 전제로 한 것인데 민주당 측은 지난 총선 때 우리 당 인사에 취한 고소·고발을 유지하며 고통을 주고 있어 신뢰 원칙이 깨진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합의 이행만을 주장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에 민주당 측은 여야가 합의하고 이행 각서까지 쓴 사안을 두고 국민의힘이 비난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국민의힘은 두 말 말고 자신들이 서명한 합의서를 지켜야 한다”며 국민의힘 측의 고소·고발 취하 제안을 거부했다.

현재 민주당 측은 합의 이행을 촉구하며 시의회 파행의 책임이 국민의힘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들은 정치권과는 다른 시각을 보이며 양당을 모두 비난하고 있다. 애초 의원들 간의 이면 합의 자체가 ‘밀실 야합’이란 것이다.

양당의 중재를 시도했던 지역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주민을 대표하는 시의원들이 주민 몰래 합의하고서 이제 와 서로 약속을 깼다며 시의회를 파행으로 몰고 가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떠안아야 하기에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