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환경사업소가 오산시 제1공공하수처리시설 내 50억원대 하수처리 제품(이하 분리막)을 교체, 납품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업체를 위한 계약을 진행(6월 12일자 인터넷 보도=제안서 받지 않고 업체 추려… 오산시환경사업소, 절차 이용 밀어주기?)했다는 의혹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오산시, 특정업체 밀어주기 의혹에 대해 "특수성 고려" 해명
오산시환경사업소, 타 업체에 정식 견적서 요청한 사실도 확인
"의혹 해소하기 위해 비공개 정보 지금이라도 전환, 검증 받아야"

오산시의 해명과 상반되는 업체의 실적과, 수의계약전 경쟁 입찰을 진행하려했다는 추가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달청이 진행하고 있는 수의계약에 대한 정식 민원(이의제기)이 제기, 그 결과가 주목된다.

2021061001000457600021571.jpg
사진은 오산시 오산동 750에 위치한 오산시 환경사업소 제1공공하수처리시설. 2021.6.10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오산시의 이상한 해명과 경쟁입찰을 위한 사전 사업 정황

오산시는 특정업체 밀어주기 의혹 대해 "공업용수로 사용, 분리막은 보편적으로 숨겨진 기술이 아닌 제품이며, 무중단 교체등의 특수성을 고려했다"고 해명했다.

공업용수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기술을 우선시 했다는 것인데, 경인일보 취재결과 인천지방조달청에 수의계약 요청한 제품(품명:다공형 중공사막 & 규격:ENTIPS-W2000-24)의 경우 공업용수 처리 실적이 없는 제품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업계에서도 이상한 해명이라 평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업용수의 사용이란 오염된 물(하수 및 폐수)을 처리해 공장에 공업용수로 재-공급하는 시설로, 보편적인 수질처리보다는 조금 더 까다로우며 매우 안정적인 수질처리를 요하는 기술이다"며 "이러한 공업용수 재-이용에 대한 기술 및 정상가동실적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국내에도 매우 드물게 있다"고 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분리막제조의 기술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수처리기술의 정점에 있는 기술이다"며 "국내에서도 분리막에 대한 제품을 선정할 시에도 약 8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문제없이 가동이 되어야 특수성이 있어 1차평가 2차평가 등의 엄격한 기술성 및 경제성의 평가 기준을 반영하여 선정하는 것이 정부지침"이라고 했다.

결국 이 같은 주장과 상반된 계약이 진행중인 것이다. 

수의계약전, 경쟁입찰로 진행하려한 정황
특히 경인일보 취재과정에서 오산시환경사업소가 사전 타 업체에 관련자료를 제공해 정식 견적서를 요청한 사실도 확인됐다.

최초로 경쟁 구도에서 사업을 추진하다, 수의계약으로 전환했다는 정황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사실이다.

원가분석 과정에서 배제된 업체인 K사.

이 업체는 지난해 4월 오산시환경사업소로부터 관련자료를 제공받아 정식으로 제출을 요청받았다.

업체는 1만9천t처리 기준에 여유율 26%를 감안, 2만4천t에 대해 총사업비 47억원에 오산시에 제안했다.

그러나 지난 8일 현재 오산시환경사업소가 조달청에 계약을 의뢰한 업체는 A사이며 54억원에 수의계약을 진행 중이다.

오산시환경사업소는 2021년 2월 시장조사용역(3개업체 참여)을 거쳐, 4월 용역결과에서 1개 업체 결정한 뒤 하수처리시설 환경을 고려해 특정기술제품 선정 심사위원회를 열었고, 자체 감사까지 받아 현재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부분에 대해서도 업계에선 이해할 수 없는 해명이라 주장했다.

업체 관계자는 "용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이고 투명하며 공정한 과업수행을 위해, 자격조건이 되는 다수의 업체로부터 자료를 수령 후 평가를 하나, 객관적인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매우 주관적인 평가를 했다"며 "자체적으로 업체를 정해 수의계약을 진행한 것으로 이는 공정성을 잃은 계약"이라고 했다.
해명해야 할 문제는

새롭게 제기된 주장은 구체적이다.

사전에 견적서를 제출한 업체의 조건이 선정 업체에 비해 가격, 성능 모두 우위를 보였다.여기에 실제 제기된 제품(품명:다공형 중공사막 & 규격:ENTIPS-W2000-24)이 공업용수 처리 실적이 없는 제품이라면 그 자체도 문제다.

오산시가 예산 절감을 위한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 즉 공정성을 잃었다는 의혹을 살 수 있는 방식을 왜 채택했는지 의문이 남는 대목이다.

가격 및 오산시환경사업소의 특수성(공업용수 재이용 실적 및 특수사항)등 경쟁력을 갖춘 업체를 철저하게 배제 시킨 이유에 대해서도 새롭게 해먕해야 할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오산시가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비공개 정보를 지금이라도 공개정보로 전환해 검증 받아야 한다"고 했다.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