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착한 수수료를 강조하며 지난 2020년 12월 경기도가 출시한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이 시장논리에 밀려 소비자에게 외면받고 있다. 사진은 수원시내 한 음식점에 붙은 배달특급 가맹점 스티커. 2022.2.21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배달특급은 분명 좋은 정책이다. 높은 수수료에 신음하는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고자 '선(善)한 의지'에서 출발했고 소비자들 역시 착한 소비의 일환으로 배달특급을 이용하고 있다.

■ 배달특급의 성과, 배경엔 배달시장의 호황

21일 기준 배달특급 누적 가입 회원은 약 70만명이다. 전체 경기도민이 1천353만여명인 것을 고려하면 5%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배달특급은 누적거래액이 1천200억원을 돌파해 성과를 내고 있지만, 이는 배달시장규모 자체가 코로나19 장기화로 호황을 맞으며 덩달아 성장한 것으로 보는 게 더 맞다.

코로나로 시장 호황 '덩달아 성장'


통계청의 '2021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 동향'을 보면, 온라인쇼핑 중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25조6천84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8.2%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빅데이터 활용 외식업 경기분석' 보고서에서도 지난해 외식업 매출 중 배달앱 매출은 15조6천억원으로 전체 외식업 매출의 15.3%를 차지했다. 이는 2019년 3.7%에서 11.6%p나 증가했다.

■ 착한 정책 배달특급은 왜 소비자에게 인기 없을까


소상공인에겐 중개수수료가 저렴하다는 매력이 있지만, 소비자에게 배달특급은 민간 배달앱과 크게 다를 바 없다. 문제는 배달특급이 민간배달앱과 똑같이 '배달팁'을 받아 운영된다는 점이다.

배달특급도 가맹점주와 배달대행사 간 계약에 따라 배달팁을 정하고 있는데, 최근 민간배달앱에서 문제가 된 '건당 배달비 1만원' 논란이 배달특급도 예외가 아니었다.

A(33)씨는 용인 지역화폐를 자주 쓰면서 배달특급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간혹 배달비가 더 비싸고 후기도 적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소상공인을 돕는다길래 배달특급을 가입했지만, 간혹 배달비가 (민간보다) 더 비싸고 후기도 별로 없어서 배달비 지원 등 할인 쿠폰을 줄 때가 아니면 굳이 배달특급을 쓸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는 민간배달앱처럼 배달특급도 기본 배달요금에 더해 거리에 따라 추가 배달요금이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거리에 따라 1만4600원까지 상승
지역 면적 넓은 도농지역은 '부담'
일부가맹점 전화로 추가요금 알려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의 감자탕집을 예로 들면, 기본배달요금이 4천900원인데 거리에 따라 1만4천600원까지 상승한다. 가까운 거리인 영통1·2·3동은 기본 배달요금(4천600원)에 300원만 추가로 내면 되는데, 거리가 늘어날 경우 1만4천600원까지 올라간다. 최소 주문금액이 9천원인 것을 감안하면 음식값보다 더 비싼 배달팁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양평, 연천 등 인구수에 비해 지역 면적이 넓은 도농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배달 소외 지역으로 꼽혔던 양평·연천군 등에 배달특급이 시작되고 좋은 호응을 얻은 것도 사실이지만 배달팁으로 인한 폐단도 늘고 있다.

일부 가맹점은 배달특급 앱에는 기본 배달팁만 적어놓고 소비자가 앱을 통해 주문하면 그제야 전화로 추가 배달요금을 알려주는 것이다.

실제로 배달특급 앱에는 "일부 지역은 추가 배달요금이 있으며 배달 전 전화 연락드립니다"고 적어놓은 가맹점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양평군에서 배달특급을 이용했던 B(38)씨는 "양평지역 특성상 배달비가 비쌀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미리 알려주지 않고 주문한 후에 얼마를 더 내야 한다고 하니까 기준이 어떻게 되는 건지 알 수도 없고 내면서도 찜찜한 기분"이라고 토로했다.

배달특급을 운영 중인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는 "배달특급은 거래만 중개할 뿐, 배달팁은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이라면서도 "가맹점주 자율로 배달팁을 정하기는 하지만, 현장 영업 시 점주들한테 배달팁을 낮추자고 계속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03_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