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배달앱은 민간배달앱이 독점하던 시장에서 '메기' 역할로 큰 주목을 받았다. 민간을 견제한다는 측면에서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등장만으로도 상징성이 분명했다. 높은 수수료를 감당하기 어려웠던 소상공인들도 위로를 받으며 반가워했지만, 그 과정에서 '소비자 관점'이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은 것은 아쉬운 지점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으로 물건을 사기 때문에 '소상공인을 돕는다'는 취지만으로는 움직이는 데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도 이 지점을 지적한다.

이성훈 세종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공공배달앱이 성공하려면 소비자와 소상공인, 라이더의 선택을 모두 받아야 한다.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혜택이 적은 공공배달앱을 찾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을 돕는다는 정책 취지에는 모두 공감하지만, 시장경제 원리로 보면 한계가 큰 셈이다. 적정 수수료를 받아 소비자 마케팅 비용으로 재투자해야 하는데, 공공배달앱은 이 같은 구조가 확립되기 어렵다는 목소리다.

정연승 단국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교수(한국유통학회장)는 "공공배달앱은 예산으로 운영된다. 민간배달앱과 비교했을 때 서비스와 가격, 품질 등에서 효율적인 경쟁이 어렵다"고 했다. 


'소상공인 돕기' 취지 비해 역부족
마케팅 비용 재투자 구조 확립 난제
"정부, 민간 수수료 규제 마련해야"

 

002.jpg
경기도 공공 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특급'의 첫 화면(좌측)과 배달 앱 업계 1위 '배달의 민족'의 첫 화면. /경인일보 DB
 

이 같은 상황 탓에 경기도와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도 다양한 수익 창출 방안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공공배달앱이 시장에 있다는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경쟁력·자생력 강화가 필요하면서다.


도 관계자는 "배달특급이 민간 시장에 등장하면서 수수료를 올리던 민간배달앱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면서 "이 같은 취지가 계속될 수 있도록 올 한 해 동안 배달특급 활성화 방안을 심도 깊게 고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19 이후 배달 수요가 줄어들면 공공배달앱이 설 자리도 좁아질 수 있음을 지목했다.

이성훈 교수는 "배달은 소비생활에서 필수재가 아닌, 편의재다. 코로나 이후 배달 수요가 줄어들면 당연히 민간배달앱들도 수수료 조정에 나설 것"이라면서 "그렇다면 수수료 문제로 출발했던 공공배달앱은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배달앱은 민간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며 소상공인 직접 지원과 민간배달앱 수수료 가이드라인 등으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정연승 교수는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배달앱 수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게 정부의 역할에 맞다"고 했다.

아울러 이성훈 교수는 "공공배달앱이 치열한 마케팅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결국 투자가 자유로운 민간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면서 "소상공인들이 겪는 수수료 문제는 직접 예산으로 지원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덧붙였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00_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