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관광지 산정호수는 70년대 '유원지'로 불리던 그 시절에 멈춰있다. 부식된 낡은 놀이기구 등 노후화된 관광시설. 2022.7.31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2022072901001095200053394
경기도의 관광산업이 '수지'가 맞으려면 수도권뿐 아니라 경상도와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등 타 지역에서 경기도를 즐기기 위해 관광객이 와야 한다. 나아가 서울과 같이 외국인 관광객들도 경기도를 온전히 즐기기 위해 경기도로 여행을 와야 한다.

하지만 현재 경기도 관광지가 몇 시간을 운전해서, 비행기를 타고 올만큼 가치가 있을까.

1970년대부터 경기도 관광지로 지정된 14개소는 말 그대로 시간이 멈췄다. 포천 산정호수가 보여주는 70년대 유원지의 풍경은 비단 산정호수만의 문제는 아니다.

숙박 관광객 늘리려면 새 활력 목청
지역별 특성 연계 시너지 효과 필요
시·군, 예산 한정·전문성 부족 한계
"민자 유치·킬러 콘텐츠 개발 지원"
멀리서 오게 하려면 관광지 재생부터
돈이 되는 체류형(숙박) 관광을 늘리려면 결국 먼 거리의 관광객들이 찾아와야 한다. 하지만 도내 관광지가 새로운 관광객을 끌어들일 매력을 갖추고 있을까.

전국 관광지 225개소 중 도내 관광지는 14개소다. 70년대 지정 후 조성된 관광지가 6곳, 80년대 5곳, 90년대 1곳, 2000년대 1곳이며 그나마 화성 궁평항이 2017년에 조성돼 가장 최근이다.

관광업계에선 "파주 임진각, DMZ 등 독보적인 안보관광지부터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수원화성 같은 세계 문화유산 등 관광자원으로 없는 게 없는 경기도"라고 평가하며 군침을 흘리지만 정작 이들 관광지는 속절없이 시간만 흐르고 있다. 경기도가 도시만 재생할 것이 아니라 관광지를 '재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로 여주 신륵사, 파주 공릉 등 6곳은 1977년에 관광지로 지정된 이후 달라진 게 없다. 가평군 대성리의 경우 1969년 관광지로 지정돼 벌써 50년이 넘었지만 오래된 펜션과 수상레저 시설 외에는 그대로다. 또 남양주시 수동관광지는 몽골문화촌 등으로 조성됐지만, 현재는 폐쇄 후 방치된 상태다.

31
관광지 산정호수는 70년대 '유원지'로 불리던 그 시절에 멈춰있다. 슬레이트 지붕의 가건물 등 노후화된 관광시설. 2022.7.31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그래서 기존의 도 관광지부터 개선을 시작하는 이른바 '관광재생'이 주목받는 이유다. 관광재생은 기존 관광지, 관광자원을 다시 개발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자는 개념인데, 도내 시·군은 이와 같은 관광재생을 도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지역별로 갖춘 관광특성을 서로 연계한 시너지 효과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일례로 포천시는 한탄강과 아트밸리 등을 연계한 수학여행 프로그램을 수년 전부터 운영 중이다. 대상은 주로 경상·전라 등 남부지방에 있는 학교들이다. 최근에는 140여곳에 달하는 포천시 내 캠핑장을 활용해 '캠핑객 문화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찾아가는 문화공연과 더불어 포천 허브아일랜드, 아트밸리 등과 연계한 야간경관사업 등이 주 내용이다.

이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하나다. 포천에 머무는 시간을 늘려, 지역소비를 유도하고 관광이 지역경제를 살리는 구도를 만들고 싶어서다.

포천시의 눈물겨운 노력에도, 숙박관광 위주의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하긴 쉽지 않다.

시 관계자는 "포천만 보려고 경상도, 전라도 멀리서 올 수 있겠나. 최소한 포천에서 자연을 즐기고, 연천에 가서 구석기도 배우고, 가평에 가서 물놀이도 할 수 있게 관광상품이 도 차원에서 큰 그림을 가지고 설계가 돼야 그만큼의 시간과 돈을 투자해 놀러오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지자체만으로 역부족, 경기도가 나서야
문제는 경기도가 관광지 지정 후 어떻게 개발할 지에 대한 계획이 없다. 지자체 차원에서 조성계획을 세우고 개발을 해보려 노력하지만 쉽지 않다. 이럴 수밖에 없는 데는 관광진흥법에 따라 관광지·단지를 지정하는 일에 큰 고민 없이도 지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관광지 지정은 별도 면적 기준이 없고 공공편익시설 등 일부 시설만 갖춰도 가능하다. 특히 도내 관광지는 주로 자연경관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관광시설이 턱없이 부족해도 법에는 저촉되지 않는다. 속절없이 관광지들이 시간만 허비하며 쇠퇴하는 결정적 이유다.

관광지보다 엄격한 관광단지는 일정한 면적 기준 등이 필요하고 도시개발사업처럼 조성계획을 세워야 한다. 도내에도 2009년과 2016년 각각 평택과 안성시에 지정됐지만, 아직도 미완성이다. 그만큼 개발이 쉽지 않다.

기존 관광지는 낡았고, 신규 관광단지 조성은 어려운 상황이다. 또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묶인 경기도 상황상 '관광지 조성사업'은 3만㎡로 제한된다. 이천시 내 레고랜드 추진이 무산된 것도 이 같은 규제 탓이다.

더욱이 지자체 예산은 한정되고 전문성이 부족해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관광재생을 추진하거나, 지자체가 소유한 부지 등을 대상으로 민간 투자 유치를 도와야 한다는 게 도와 지자체, 관광업계의 공통된 목소리다.

3
관광지 산정호수는 70년대 '유원지'로 불리던 그 시절에 멈춰있다. 오래된 화장실 등 노후화된 관광시설. 2022.7.31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실제 포천시 산정호수 인근에 1987년 가족호텔이 문을 열었지만, 객실 수가 41개로 규모가 작고 관광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10년 넘게 방치되고 있다.

해당 부지는 포천시가 소유하고 있는 상황으로, 최근에는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하는 것이 전부다. 또 다른 포천시 내 리조트의 경우 100% 민간투자로 2012년 준공 후 사용승인까지 받았지만, 사업자가 수익이 나오지 않자 파산한 상태다.

도 관계자는 "도내 시·군의 경우 정보가 부족해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면서 "도의 경우 투자유치부서가 별도로 있다. 시화호에 조성 중인 국제테마파크도 투자유치부서와 협업을 통해 만든 결과"라고 설명했다.

민간관광업계도 같은 입장이다. 관광개발사업자인 정원석 (주)타워뷰 대표는 "지자체가 관광개발을 직접 하기에는 예산 압박이 크다. 예를 들어 호텔이나 리조트는 기본 1천억원 넘는 재원이 필요하다. 이를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지자체는 거의 없다"면서 "통상 지자체가 소유한 부지에 대해 공모를 통해 민간 투자를 유치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결국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도내 관광재생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인데, 관광업계는 경기도 관광의 '킬러 콘텐츠'를 경기도가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원석 대표는 "통상 관광사업을 추진할 때 회계법인을 통해 수익성 등이 담긴 재무보고서를 검토받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관광객 흡수율'인데, 흡수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지역의 기본 인구수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있는 경기도 입장에서는 관광 잠재력이 클 수밖에 없다"면서도 "하지만 경기도 하면 딱 떠오르는 '킬러 콘텐츠'가 없다. 또 이미 권역별로 보편적인 개발방향이 정해져서 관광객 입장에서는 새롭거나 특별한 것이 없다. 틀을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지영·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