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객 감소 등에 따른 운영비 문제로 운행을 멈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향후 운영 방안을 두고 기관 간 입장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수천억원을 들인 기술·설비인 만큼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기부상철도를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정비 기준 등이 상대적으로 낮아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궤도시설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매년 70억원 가까운 운영비가 소요되고 있으며, 앞으로 연평균 139억원이 필요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온 만큼 우선 운영비를 절감하겠다는 것이다.
현재는 자기부상철도가 도시철도시설로 분류돼 있어 운영비 지출이 크다는 게 인천공항공사 설명이다. 국토교통부도 자기부상철도 운영비를 절감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천공항공사와 다르지 않은 입장이다.
인천공항공사, 운영비 등 年 139억
국토부도 절감 필요성 같은 의견
중구·공항 노조는 반대 입장 표명
반면 영종도 관할 자치단체인 인천 중구와 인천공항 노동조합은 강하게 반대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인천 중구는 지역 주민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 자기부상철도가 궤도시설로 전환하면 제 기능을 못 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정비측면에서 도시철도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에 주민 안전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노조 측은 인력 감축으로 이어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 → 표 참조

최근 김정헌 중구청장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와 간담회를 했다. 이 자리에서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시설 전환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중구 관계자는 "인천공항공사는 중구 주민 등과 협의 없이 궤도시설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안전을 담보하기 어려운 궤도시설 전환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주민 의견을 모아서 인천공항공사에 전달할 것"이라고 했다.
해외 기술 수출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궤도시설로 전환은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병천 전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단장(전 한국기계연구원 부원장)은 "아직 해외 수출 가능성이 남아 있고 말레이시아, 태국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궤도시설 전환은 우리 기술이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해외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각 주민 안전 우려·인력감축 걱정
기계연 '수출 협의' 악영향 우려도
관계 기관이 협력해 수천억원을 투입한 시설의 '정상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자기부상철도 기술은 실증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실패했다고 평가하긴 어렵다"며 "관계기관이 협력해 공항과 연계된 시설 등을 활성화하면서 수요(승객)를 늘리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인천공항공사는 시범노선 선정기관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자기부상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 궤도시설 전환 후에도 운영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