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3일 수원 세 모녀 사건에 대해 "경기도정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경기도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해 너무나 비통하고 책임감을 느낀다"며 "저도 살면서 막다른 길에 몇 번 처해봤다. 그런 상황에 처해 보지 않았다면 모른다. 수원 세 모녀가 그런 결정을 하기까지 어떤 생각을 했을까"라며 안타까워했다.
이와 더불어 김 지사는 '핫라인'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는데, 안정적인 복지 시스템이 갖춰지기 전에 수원 세 모녀와 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도움을 주고 싶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살면서 막다른 길에 다다른 분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전에 연락 한 통만 준다면 어떻게든 그편에서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를 위한 '핫라인'을 꼭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도는 이날 도지사 핫라인 운영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경기도 도민 소통 방안 제안공모'를 제안했다.
송파 이어 수원서 또 극단 선택
지방정부 차원 재발 방지책 언급
尹 "특단 조치… 지자체와 협력"
앞서 이른바 '송파 세 모녀' 사건이 발생하면서 정부는 사회보장체계를 돌아보고 관련 시스템을 개선했다. 공과금을 3개월 체납하면 관련 정보가 관할 구청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수원 세 모녀의 경우 본 주소지와 실 거주지가 달라 재정비된 복지 시스템에서도 사각지대에 놓였다. 결국, 복지 서비스를 직접 신청해야만 대상이 되는 '신청주의' 등에 대한 개선은 물론, 신청조차 어려운 이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핫라인 구축의 필요성은 경기도뿐만 아니라, 화성시에서도 나온 내용이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24시간 전문 상담부터 시장 면담까지 이뤄지는 긴급 구제 시스템으로 '자살예방 핫라인'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고 1호 결재로 서명했다. 중앙정부가 아닌 기초단체 차원에서 정신건강상담 핫라인을 설치한 것은 전국 최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수원 세 모녀 사건에 대해 "복지정보 시스템도 제대로 작동이 안 되는 그런 주거지에 사시는 분들에 대해 어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며 "그래서 중앙정부에서는 이분들을 잘 찾아서 섬길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자치단체와 협력해서 이런 일들이 또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통령으로서 어려운 국민들을 각별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9면(수원 세모녀 비극… "힘들다" 한마디 할 곳 있었더라면)
/정의종·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