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지난달 발생한 '수원 세 모녀' 사건에 대해 직접 사과한 뒤 "마을 공동체 중심의 시스템 구축"으로 문제 재발을 막겠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현재의 사회복지 관련 시스템이 드러낸 문제를 '지역 공동체 활성화'로 풀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8월 24일자 9면·9월 1일자 7면 등 보도=[다시 쓰는 '수원 세 모녀' 사건·(4·끝)] 충분한 예산·인력 뒷받침 필수) 가운데 수원시가 기존 한계를 넘어선 복지 사각지대 해결에 앞장설 지 주목된다.
이재준 시장, 월례조회서 사과
이재준 시장은 이날 수원시청에서 열린 월례조회 자리에서 "(빚 독촉 등)힘겹게 살았던 세 모녀를 제대로 돌봐드리지 못해 송구스럽고, 수장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최근 수원 세 모녀 사건과 관련한 사과의 뜻을 표했다. 이어 마을 공동체를 활용해 문제 재발을 방지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그는 "마을 공동체가 복지를 다루는 '공동체 통합돌봄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며 "마을 곳곳을 다니시는 통장님, 반장님, 수도검침원, 배달원 등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하고, 그분들과 함께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해 복지행정 한계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실거주지가 달랐던 문제의 개선에 그치는 게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활용해 보다 촘촘한 돌봄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줄일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통·반장·수도검침원·배달부 등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
촘촘한 돌봄 시스템 구축 의지
뿐만 아니라 이 시장은 향후 민선 8기 시정에 있어서 '지역 공동체 활용' 범위를 넓히겠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민선 8기 수원시는 시민의 참여와 협치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의 힘으로 나아가겠다"며 시민의 뜻을 받들어 시정을 펼치는 과정이 쉽진 않지만, 시민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시정을 운영하면 정책 효과가 한결 커지고 단단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부서는 사업을 추진하기 전에 시민 의견을 충분히 듣고 고민해야 한다"며 "공직자들은 시민의 힘을 믿고, 시민들과 함께하라"는 점을 이날 월례조회에 참석한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