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ㄹ.jpg
산지 소 등의 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사룟값이 올라 축산농민들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이다. 곡물 가격이 오른 만큼 사료 가격을 충분히 올려받아야 하지만 그러지 못한 지역축협 안팎에선 연말 10억원 이상의 손실 발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사진은 용인시 처인구 한 축산농가. /경인일보DB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평생 흙을 더불어 살던 경기도 농민들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비료·농약 가격 상승에 농민들의 어려움이 커진 가운데 축산농민들은 국제 곡물 가격 인상에 따른 사룟값 상승 문제로 직격탄을 맞았다.

산지 소 등의 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사룟값이 올라 축산농민들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 속, 곡물 가격이 오른 만큼 사료 가격을 충분히 올려받아야 하지만 그러지 못한 지역축협 안팎에선 연말이면 10억원 이상의 손실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비관론에 무게가 실린다.

"생산비 올라 피치못할 적자" 한숨
한우농가 30%는 "사육 포기 생각"


6일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이날 한우 암소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평균 20.4% 하락했다. 수소 가격 역시 26.1%가 낮아졌다. 소를 판매해 받을 수 있는 가격이 줄어든 것이다.

설상가상 생산비는 높아졌다. 사료 가격이 오른 게 주된 요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배합사료 평균 가격은 1㎏당 520원이었지만 올 7월엔 667원까지 올랐다. 1년 새 28%가 상승한 것이다. 생산비가 높아진 만큼 소를 판매했을 때 받을 수 있는 비용이 올라야 그나마 손해를 면할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하락한 지금으로선 적자를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전국한우협회 조사에서 한우농가 10곳 중 3곳 이상은 '사료 가격이 지금 상태로 유지되면 사육을 포기할 생각'이라고 응답하기도 했다.

그나마 돼지 가격은 지난달 말 기준 전년 동월 대비 평균 7.1% 올랐지만 높아진 생산비를 충당하기엔 충분치 않다. 이런 상황 속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무관세 수입 축산물을 늘린 점도 고통을 키운다는 게 축산업계의 목소리다.

사료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사료를 판매하는 지역축협들의 재정 사정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손실이 커지고 있다는 게 지역축협들의 하소연이다.

도내 지역축협들도 사료 가격을 일부 올리긴 했지만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이 큰 만큼, 원래 인상해야 하는 가격대로 충분히 올려받지 못해서다. 지난 6월 기준 국제 선물 시장에서 곡물 가격은 전년 대비 86.3%가 올랐다. 사료에 주로 쓰이는 옥수수는 104.1% 상승했다.

그 이후엔 우크라이나 곡물 수입이 재개되면서 국제 곡물 가격 상승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원/달러 환율 상승이 변수가 됐다. 배합사료 외에 조사료(건초, 짚 등의 사료) 역시 주요 수출국에서의 생산량이 줄어 가격 상승 압박이 커졌다.

판매가격은 못미쳐… 축협은 손해
유가 문제로 어민들도 부담 적지않아


생산단가는 치솟았는데 판매가격이 그에 미치지 못해, 손해를 보고 팔아야 하는 게 지역축협들의 딜레마다. 이에 따른 손실은 지역축협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 한 도내 지역축협 관계자는 "지역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사료 부문에선 적어도 올해 10억원 이상의 적자를 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쟁은 경기·인천지역 어민들의 시름도 깊게 했다. 국제 원유 가격이 다소 완화됐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비용 부담이 적지 않은 가운데, 어선을 보유한 어민들은 한숨을 내쉬는 실정이다. 여기에 정부가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가입에 속도를 내자 수산물 시장이 사실상 전면 개방될 것이라는 우려도 깊다.

수도권의 한 지역수협 관계자는 "인건비며 생산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는데 이를 충당할 만큼 어획 상황이 좋은 것도 아니라, 다들 표정이 밝지 않다. 지역수협에서도 이런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2022090601000236000009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