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다."
제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지난 10월20일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사건 진실규명 결정 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선감학원에 수용됐던 원생들이 국가폭력의 피해자임을 분명히 했다. 일평생을 부랑아로 낙인찍히고, 불행한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온 피해자들이 그토록 바라던 결과였다.
'이제는 달라지겠구나' 기대했던 피해자들의 안도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김영배(68) 선감학원아동피해대책협의회 회장은 이제 "무섭다"고 말했다.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 그가 느낀 무서움은 무엇에서 비롯됐을까.
"달라지려나"… 기대는 실망으로
10년 전, 선감학원 피해자들은 친목 모임을 만들었다. 고통스러웠던 유년 시절을 성토하기 위한 만남은 아니었다. 그저 비슷한 처지에 놓였던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술을 곁들인 자리에선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선감학원 이야기를 꺼냈다. 그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견딜 수 없다"는 울분이 곳곳서 터져 나왔다.
"여전히 선감학원에 수용됐던 그 시간 속에 살고있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마음이 모였고, 그렇다면 우리가 겪은 일을 '세상에 알려보자'고 의기투합 한거죠." 두려웠지만 그래야만 남은 생, 후회 없이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2012년, 협의회란 이름 아래 모인 11명은 당시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게 과거 선감학원에서 자행된 아동학대의 진상을 파악해 달라고 탄원서를 보냈다. 피해자들이 진실규명을 요구하며 전면에 나선 첫번째 활동이었다. 그렇게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국회 등을 오가며 진실을 위한 싸움을 이어온 협의회는 그로부터 10년만인 올해 결실을 맺었다.
"협의회 활동의 첫 번째 목적은 국가폭력의 피해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찾는 거였어요. 피해자가 아닌 사람은 피해자의 '자격'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실감하기 어려울 겁니다. 피해자라는 그 자격을 얻기 위해 10년이란 시간을 쉼 없이 달려왔습니다."
김 회장은 국가폭력의 당사자인 '국가'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내놓지 않는 것에 불안하다. 국가는 여전히 자신들을 피해자가 아닌 '부랑아'로 보고 있다는 불안이다. 국가폭력의 피해자임을 누구도 인정하지 않던 10년 전의 그때로 되돌아가는 건 아닌지, 이제는 무섭다고 토로한다.
"선감학원에서 발생한 아동 인권침해사건의 진실을 되돌아보려면 가해자인 국가의 사과가 가장 우선돼야 합니다. 선감학원을 만들어 어린아이들을 강제로 가두고 인권을 짓밟은 당사자인 국가가 피해자들의 아픔을 적극적으로 어루만져야 상처도 치유될 수 있습니다." → 관련기사 3면([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3·(3·끝)] 진화위 진실규명 "과오 되돌릴 시작점"… 시동도 못 건 후속대응)
/특별취재팀
※특별취재팀
정치부 공지영 차장, 신현정·고건 기자, 사회교육부 배재흥·김동한 기자, 디지털콘텐츠팀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