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터미널의 줄폐업 행렬은 전국적인 추세다.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에 따르면 현재 전국 295곳의 터미널이 운영 중인 가운데, 지난 5년간 폐업한 터미널은 22곳이었으며 불황으로 휴업 중인 터미널도 30여곳에 달했다.
이는 대부분 전라도, 강원도 등 인구 저하로 이용률 감소가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났는데, 경기도도 2021년 포천 운천시외버스터미널을 시작으로 성남종합버스터미널과 고양 화정터미널까지 3곳이 연달아 폐업을 앞두면서 위기에 직면했다.
5년간 22곳 폐업… 휴업 30여곳 달해
경기지역은 포천·성남·고양 3곳 위기
경기지역은 포천·성남·고양 3곳 위기
직접적인 충격은 터미널 종사자가 입었고, 서서히 시민들에게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성남종합버스터미널 매표소 관리 업무를 맡았던 이다현(55)씨는 "버스터미널은 문을 닫을 수 없는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막상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구직 시장에 뛰어들자니 솔직히 겁도 난다"며 "동료들도 50대 이상이어서 다른 일은 못할 거고 상황이 비슷하다. 함께 일했던 직원들과 이전과 같은 환경에서 다시 일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뿐"이라고 황망한 마음을 전했다.
현장에서 만난 실직자들 중 아직 가족에게 이 소식을 알리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터미널이 떠난 자리는 교통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자체나 버스회사가 승차권 판매업무를 떠맡아 임시 정류소를 운영하지만, 관리 부실 등으로 불편 민원이 잇따랐다.
지난 1일 문을 닫은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을 대신해 시가 버스 6대를 세울 수 있는 임시 터미널을 근처에 개설했지만 공간이 협소해 이동 동선이 혼잡해지고 화장실 등 시설도 일절 사용할 수 없어 시민 불편이 현실화된 실정이다.
도내 한 터미널업계 관계자는 "건물로 운영되던 터미널이 전통시장 앞 버스 정류장으로 바뀌는 실정이니 전보다 부실하게 관리될 수밖에 없다"며 "다른 사업자들처럼 터미널도 수익이 안 나서 자연스레 폐업한 것인데 짜증 섞인 민원까지 받으면서 난처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고사 직전인 터미널 사업을 두고 민간 운영사들은 공공성을 감안해 정부와 지자체에 재정 지원과 용도 변경 등 규제 해제를 요구하지만, 당국은 적자예산 부담과 땅값 변동으로 인한 특혜 시비를 우려해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터미널이 살아남을 자리는 거듭 좁아지고 있다.
"지자체가 적극적 움직임 보여야"
전문가, 적자노선 공공개입 지적
유정훈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민간업체가 운영하는 버스터미널업은 수익이 안 나면 당연히 폐쇄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적정선에서 공공의 개입이 필요하다"면서 "홍콩과 일부 유럽 국가는 지자체와 민간업체가 협력해 교통시설 부지의 부동산 개발 수익을 새로운 도시재생 사업 자금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제도적으로 정착한 경우도 있다. 이 같은 사례를 참조해 사업 이익과 공공성을 함께 확보하는 방향으로 지자체가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전문가, 적자노선 공공개입 지적
/이시은·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