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병명은 마약중독·(4·끝)] 100일 전투 돕는 공공의 힘
청소년·20대 증가 사회 문제 대두
민간 수익문제 꺼려 공공이 나서야
컨트롤타워·체계적 시스템 '과제'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공공마약치료재활센터를 설립한 것도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서다. 경기도뿐 아니라 정부도 이미 알고 있다. 마약중독은 범죄이면서 병이라는 사실을 깊게 인지하고 있다. 다만 '대놓고' 말하지 못할 뿐이었다.
경기도만 들여다봐도 마약 문제는 심각하다. 지난해 마약사범 중 경기지역에서 적발된 인원은 총 6천678명으로, 전체의 24.2%다.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많은 마약사범이 적발됐다. 인구가 가장 많이 산다는 핑계만으로 덮어둘 수준은 아니다. → 표 참조
이 중에서도 마약이 무엇인지 모른 채 중독되는 청소년들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5년간 검거된 연령별 마약사범을 살펴보면 2019년 239명이었던 10대가 지난해엔 1천477명으로 6배 넘게 늘었다. 20대 역시 2019년 3천521명에서 지난해 8천368명으로 2.5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이들이 도움의 손길을 뻗을 데가 경기도엔 없었다.
물론 도내에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도 있지만 지정만 됐을 뿐 '굳이' 마약중독자를 받지 않는다. 일반 중독자보다도 몇십배는 관리하기 힘들어 꺼리는 경향이 크고, 수익성도 좋지 않아서다.
경기도가 팔을 걷어붙인 것도 최소한 마약 중독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있는 경기도민이 마약 치료를 위해 인천 참사랑병원으로, 경남 국립부곡병원으로 '원정'까지 가서 또 무한정 대기하다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만은 막겠다는 취지다.
경기도는 지난달 24일부터 용인 경기도립정신병원 내에 마약류 치료 '전담'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마약중독자만을 전담으로 맡겠다는 의지다. 시작은 10병상, 안정실 3병상이지만 이용 수요 등을 보고 병상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문을 연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현재 3명이 입원했다.
병원 관계자는 "유선 상담 문의 등 중독자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며 "치료뿐 아니라 재활센터, 자조모임 연계, 지역사회 연계서비스 제공 등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공공이 마약 치료·재활을 도맡아야 되는 적임자라고 강조한다. 수익성을 따질 수밖에 없는 민간의료기관에선 제대로 마약 치료·재활시설을 운영하기 어렵다. 공공의료기관들이 나서 안정성을 바탕으로 치료와 관리를 담당하는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 서울시도 오는 10월, 은평병원에 서울시마약관리센터를 만들어 상담과 검사, 치료·재활, 마약 관련 학술 연구까지 포괄적인 기능을 담아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가 마약중독 치료·재활시설을 운영하기 위해 꿈틀대고 있지만, 중요한 건 이제부터다. 치료재활시설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한 의료진, 행정적 연계 시스템 등 확실한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박영덕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센터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국 하수처리장을 조사한 결과, 전국에서 필로폰이 검출됐다고 한다. 그말은 이제 마약이 안퍼진 곳이 없다는 것"이라며 "마약중독과 관련한 모든 것을 우리 사회 양지로 꺼내야 한다. 이제 양지에서 예방교육을 해야 하고, 양지에서 치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지영·이시은·이영지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