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설치 규정안 입법 예고
차세대 주력산업 육성 구심점 역할
범부처 차원 대응으로 경쟁력 확보
'메카 송도' 고도화·발전 등 전망


도 바이오클러스터 일대
정부가 대통령 직속 기구로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시킨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거점인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바이오클러스터의 고도화와 발전에도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사진은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일대. /인천경제청 제공

정부가 대통령 직속 기구로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시킨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거점인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바이오클러스터의 고도화와 발전에도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국가바이오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복지부는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이유와 관련해 "최근 바이오가 산업·안보·사회복지 등 사회 전반 분야에서 '게임 체인저'로 부상했다"며 "첨단바이오 분야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역량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범국가적 리더십과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상용화·인허가 등 관련 산업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위원장은 대통령이 맡으며 각 부처 장관급과 국가안보실 제3차장, 과학기술수석을 포함해 학계·민간 전문가 40명 이내로 구성된다.

위원회 존속 기간은 2027년 6월30일까지로, 향후 논의를 거쳐 연장될 수 있다.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은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단일 부처나 민간 영역의 사안이 아닌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국가 핵심 산업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하원은 중국 바이오 기업 제재를 목적으로 한 '생물보안법'을 통과시키는 등 바이오 산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미국 생물보안법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을 '적대적 해외 바이오 기업'으로 규정하고 미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시장은 상위 5개 업체가 약 56%를 차지하는 과점 구조인데, 3위인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최근 북미 매출 비중을 47%까지 끌어올리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세계 시장에서 영역을 넓히고 있는 바이오 분야도 미국이 적극적인 제재에 나선 것이다.

이런 세계 바이오 시장의 변화와 맞물려 국내 바이오 산업도 국가 차원에서 기민하게 대응해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하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인천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송도국제도시 4·5·7·11공구 일대 총 200만㎡ 부지에 조성된 바이오클러스터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예정), SK바이오사이언스(예정) 등 국내 바이오 분야 주요 기업들이 집적화돼 있다. 단일도시 기준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은 현재 88만ℓ로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했다.

이들 기업이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경쟁 기업과 격차를 벌이고 반도체와 같이 국가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규제 개선은 물론 연구개발(R&D) 분야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시장에서 미국이 중국을 제재하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기회를 맞았다"며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고 치고 올라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해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4101401000098700010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