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도움 측면… 예산 낭비 우려 

 

광명시 등 '건강길붐' 조성 잇따라
세족장·신발장 등 시설 갖춰 '호응'
"경관훼손·휴식 방해" 반대 의견도

광명
광명시 철망산 공원에 조성된 맨발 걷기 길. /광명시 제공

맨발 걷기가 유행하면서 전국의 지자체들이 앞다퉈 맨발로 걸을 수 있는 산책로를 조성하고 있지만 광명시 등 일부 지자체들의 시민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최근 몇 년 새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광명시도 최근 주요 공원에 맨발로 걷는 건강길 9곳을 조성했다.

현충근린공원과 왕재산근린공원, 광명동 권역과 천산동 권역, 하안동 권역, 소하·일직동 권역까지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에 맨발로 걷기 좋도록 흙으로 덮고 세족장과 신발장 등 시설을 갖춰 호응을 이끌어냈다.

성남시는 11곳에 맨발황톳길을, 양평군은 용문산·남한강을 배경으로 즐길 수 있는 13개 이상의 맨발걷기길을 마련했다. 또 포천시는 삼국시대 유적지인 반월성 주변 역사탐방로에 맨발둘레길 조성을 추진 중이며 화성시도 선납숲공원 등산로 맨발걷기길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 같은 지자체들의 맨발걷기길 조성은 시민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지만 일각에선 그에 못지 않은 반대 목소리도 나온다.

한 때 인기에 수억원이 들어가는 예산을 사용하는 것이 맞느냐거나, 맨발걷기길이 자연을 파괴하고 입지에 따라 산사태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논리다. 또 일부 맨발걷기에 나선 이들이 신발을 신고 걷는 시민들을 막아서는 등 시민 간 갈등도 적지 않다.

광명시에 거주하는 A씨는 "들풀, 들꽃이 자라고 작은 동물들이 머물다 가던 곳에 몇몇 시민을 위해 맨발걷기길이 조성됐다"며 "자연경관도 망가지고 쉴 수 있는 곳도 없어졌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시민들의 반대가 거세 공사가 중단된 곳도 있다. 서울 서초구 역시 황톳길 조성에 홍은동 주민 200여 명이 반대 청원을 내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인근 아파트의 사생활 침해 논란과 자연파괴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경남 창원에서도 맨발걷기길이 다른 시민들이 산책로를 즐기는 데 방해를 줄 수밖에 없다며 별도의 황톳길 조성 반대와 산책로 조성을 요구하고 나선 시민청원에 1천300여 명이 참여하는 등 맨발걷기 열풍과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