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귀농인이 꼽은 문제점

 

농가인구·귀농인 등 감소 이어져

대출지원 등 실습 빠진 필수 교육

도내 정착 체계적 교육시스템 절실

전국적으로 농업 인구가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귀농 인구를 위한 지원 정책 등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경기도 또한 농업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24일 오후 화성시 한 들녘에서 농민들이 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2024.11.24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전국적으로 농업 인구가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귀농 인구를 위한 지원 정책 등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경기도 또한 농업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24일 오후 화성시 한 들녘에서 농민들이 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2024.11.24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경기도의 경우 농촌지역이라 할지라도 도심과의 접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인프라도 갖춰져 있어, 귀농귀촌을 꿈꾸는 이들에겐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다.

그럼에도 경기도의 귀농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고 경기도는 지역의 농업을 활성화할 특화된 정책을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

귀농귀촌을 꿈꾸는 이들은 실효성 없는 교육, 현금성 지원에서 이어지지 못하는 정책, 정착 전 체험 기회 부족 등을 경기도에서 농업에 뛰어드는 것을 고민하게 하는 방해물이라고 꼽았다.

경기도 농가 감소, 귀농인도 늘지 않아

인구감소, 도심 쏠림현상 등으로 전국적으로 농업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다. 경기도 또한 급격한 농가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경기도의 농가인구는 2020년 30만8천677명, 2021년 28만300명, 2022년 27만7천485명, 2023년 26만4천459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 표 참조

특히 지난해 경기도의 전년대비 농가인구 감소율(4.7%)은 전국(3.5%)보다도 큰 수준이다.

그렇다고 귀농인이 늘고 있지도 않다. 경기도의 귀농가구원수는 2021년 1천929명, 2022년 1천888명, 2023년 1천509명으로 조사됐다.

귀농인이 꼽은 문제점은?

대출 지원, 바우처 등을 지급받을 수 있는 청년후계농으로 선정되면 농업과 관련된 필수 교육을 수강해야 한다. 사업선정 1년차는 28시간, 2년차와 3년차는 8시간이다.

그러나 농업인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크다.

A씨는 “농업교육포털을 통해 제가 수강했던 교육 시간을 다 합쳐보니 1천시간이 넘더라. 그런데 교육에서 실제 농업에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가르쳐주지 않아서 아쉬웠다”며 “농약의 종류를 알려주는 교육이 아니라 농약을 어떻게 치면 잘 치는 건지 알려준다거나 실제 농지에 비닐을 깔고 작물을 심어보는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귀농에서의 실패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도 이들의 공통된 목소리였다.

여주로 귀농한 지 3년차인 B(52)씨는 “귀농귀촌한 젊은 사람들이 잘 모르니까 이 사람들을 노려서 사기치는 사례도 여럿 봤다”며 “이런 일을 당하거나 농사가 망하거나 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멘토라도 있었으면 좋겠다. 원주민들의 텃세에 밀려버리면 도움을 받기는커녕 적응하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했다.

경기도의 농업을 살리려면

이천에서 4년째 귀농 생활 중인 C씨는 “경기도로 귀농귀촌을 준비하고 있다면 만반의 준비를 하고 다시 생각해보라고 말해주고 싶다”며 “정부의 대출 지원 말고는 경기도 자체적으로 귀농인들을 지원해주는 정책 자체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귀농인들이 스스로 농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짚었다.

결국 경기도 농촌으로 정착하기를 원하는 귀농인들이 농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선 정부의 현금성 지원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현재 귀농귀촌지원센터를 통해 귀농인들을 위한 상담, 교육, 체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다”며 “특히 내년에는 올해 진행했던 ‘베이비부머 농촌 한 달 체험’ 프로그램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는 20개 팀을 선발해 연천·가평·양평·파주 등에서 한 달 동안 직접 농촌에 살아보고 영농실습 등을 할 수 있게 지원했는데 내년에는 더 많은 인원을 선발해 귀농귀촌 정착을 도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