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준 LH 사장 돌발 발언에 발끈

‘녹지지역 풀어 조성’ 서둘러 진화

“4TV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 강조

성남시가 제4테크노밸리를 추진 중인 분당 오리역세권 주요 부지 위치도. /경인일보DB
성남시가 제4테크노밸리를 추진 중인 분당 오리역세권 주요 부지 위치도. /경인일보DB

분당 오리역 일대(57만여㎡)를 복합개발해 제4테크노밸리를 추진 중인 성남시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한준 사장의 ‘이주단지’ 발언(11월25일자 12면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발끈하고 나섰다.

LH, 1기 신도시 이주주택 관련 언급 직후 “사실 아니다” 해명

LH, 1기 신도시 이주주택 관련 언급 직후 “사실 아니다” 해명

해명보도자료를 내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이 사장은 지난 21일 오후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선도지구로 지정되더라도 재건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곳이 얼마나 될지 냉정하게 봐야 한다”면서 “추진 가능성이 높은 분당 선도지구 재건축과 관련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9642

성남시는 25일 보도자료를 내고 “최근 이한준 LH 사장은 성남시장과 협의해 오리역 인근을 (분당재건축)이주대책 용지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발언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정정한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앞서 이 사장은 지난 21일 오후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분당 선도지구 재건축과 관련해 지하철 신분당선 오리역세권에 이주주택이 들어설 수 있다”며 “최근 성남시장과 협의해 오리역 인근 LH 사옥과 그 옆 하나로마트(성남농수산종합유통센터), 법원 부지 등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이 언급한 오리역세권은 성남시가 제4테크노밸리를 추진 중인 지역이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9월 기자회견을 하고 “오리역 일대에 판교테크노밸리의 신화를 이어갈 제4테크노밸리‘를 조성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시는 내년 1월부터 10개월여간 ’(가칭) 오리역 역세권 미래비전 및 발전구상 용역‘을 진행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 아래 8억여 원의 용역비를 편성해 놓은 상태다.

이와 함께 지난 1일에는 LH 경기남부지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성남시·국민의힘 김은혜(성남분당을) 의원이 주관하고 국토부가 후원한 ‘오리역 일대 통합개발 세미나’를 갖기도 했다.

국토부

국토부 "오리역세권 개발 제4테크노밸리 성공 지원할 것"

os;… 신상진 성남시장, 청사진 제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성공 모델이 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박 장관은 지난 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남부지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성남시·국민의힘 김은혜(성남분당을) 의원이 주관하고 국토부가 후원한 '오리역일대 통합개발 세미나'에 참석해 "오리역 일대는 162개 1기 신도시 특별정비예정구역 중 유일한 중심지구 정비형 특별정비예정구역이다. 통합개발을 통해 단순한 주거환경 정비를 넘어 양질의 일자리와 새로운 성장동력을 육성하려 한다. 매력적인 제4테크노밸리로 재창조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시는 교통인프라 구축·인허가절차 간소화·혁신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등을 요청했다.세미나에서 유지만 국토부 도시정비지원과장은 '오리역 일대 통합개발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오리역일대는 우수한 입지여건과 교통 연결성에도 불구하고 업무기능 상실, 낮은 부지활용도, 미개발지역 방치 등으로 역할을 못하는 상황이다. 성남시와 논의하고 의견을 반영해가며 통합개발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통합개발 방향으로는 ▲첨단 스마트 시티 산업 허브 ▲공간복합화 ▲건폐율·용적률 등의 규제 해소로 창의적인 건축계획을 유도하고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는 랜드마크 유치 ▲문화 및 주거기능 복합 도시 등을 제시했다.정상철 시 공공개발정책관은 '제4테크노밸리 추진현황 및 계획'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4테크노밸리를 성공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하다"며 ▲국가경쟁력을 선도하는 거점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인허가절차 간소화 ▲혁신거점이 되는 교통인프라 구축(SRT복복선화 등 철도교통망 환승체계 및 오리동천역신설) ▲오리역세권 지역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해당돼 한계 존재, 첨단산업 기업유치 스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6052

이처럼 제4테크노밸리를 위한 단계를 차곡차곡 밟아나가고 있는 상태인데 LH 수장의 입에서 ‘이주단지’라는 돌발 발언이 나오자 시는 적잖이 당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주단지는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시는 국토부에 녹지지역을 풀어 이주단지를 마련해 줄 것을 거듭 요청하고 있는 만큼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다 LH가 이 사장의 발언에 대해 하루 만인 지난 22일 “이주단지나 이주주택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해명 보도자료를 내면서 제4테크노밸리를 전혀 언급하지 않고 “일부 고급주택이 공급될 수 있다”고 한 부분도 시가 반박 보도자료까지 내게 된 배경이다.

제4테크노밸리는 신 시장의 공약 사항이다. 시 관계자는 “청년층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도약 등을 위해서라도 제4테크노밸리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