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다문화 가정 적지 않은 군포시

지역 맞춤형 정책·패러다임 전환 등 제언

군포시의회에서 관련 토론회·강연 개최

한국다문화정책연구소가 군포시의회에서 진행된 ‘대한민국 다문화 사회 현실과 군포시 지역 맞춤형 다문화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박상현 군포시의원(오른쪽 네번째) 등과 기념촬영하고 있다./군포시의회 제공
한국다문화정책연구소가 군포시의회에서 진행된 ‘대한민국 다문화 사회 현실과 군포시 지역 맞춤형 다문화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박상현 군포시의원(오른쪽 네번째) 등과 기념촬영하고 있다./군포시의회 제공

한국다문화정책연구소(대표·이호석)가 군포시의회에 다문화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의 필요성과 지역 맞춤형 다문화 정책의 중요성을 제언했다.

연구소는 지난 21일 박상현 군포시의원이 주최한 ‘대한민국의 다문화 사회 현실과 군포시 지역 맞춤형 다문화 정책 토론회’에 참석하는 한편, 다문화 정책 2.0에 대해 강연했다.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군포시 주민 26만7천750명 중 외국인 주민은 1만2천802명으로 5% 가까이에 해당한다. 이들 중 결혼과 출산 등으로 다문화 가구에 속한 주민은 같은 해 기준 절반 정도인 6천473명이다.

스스로도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 연구소 이호석 대표는 다문화 가정 자녀가 이중 국적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이날 토론회엔 최근 연구소가 선임한 각 지역위원회 대표들도 참석했다. 이 대표는 “지역위원회 구성 이후 뜻 깊은 자리를 갖게 돼 기쁘다”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 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촉구하고 전국적인 다문화 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포/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