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성 없던 ‘정부 정책’ 드러나

 

도내 병원 대다수 7~8월에 문닫아

‘수요 저조’… 의정부 6·7월엔 0건

관계자 “보여주기 급급했던 대책”

 

해당 결정에 “공공성 배제” 지적도

정부가 전공의 집단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내놨던 지방의료원 연장진료 정책이 실효성 논란 끝에 오는 11월말 종료된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내원객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2024.11.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정부가 전공의 집단 이탈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내놨던 지방의료원 연장진료 정책이 실효성 논란 끝에 오는 11월말 종료된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내원객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2024.11.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의료공백을 막기 위한 정부의 지방의료원 외래 연장진료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에 직면하며 결국 백지화될 상황에 놓였다. 경기도 내 지방의료원에서 이달 말 외래 연장진료가 모두 종료되기 때문인데,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공공성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는 지적도 나와 논란이 될 전망이다.

27일 경기도의료원과 성남시의료원 등에 따르면 전공의 의료현장 집단 이탈에 따른 도내 지방의료원 외래 연장진료가 이달 말 모두 종료된다. 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은 지난 2월부터 평일 야간진료(오후 5시30분~오후 8시)를 실시했으나, 5개 병원(수원·의정부·이천·안성·포천)은 이미 7월 말 연장진료를 종료했고 파주병원도 8월 말에 중단했다. 성남시의료원은 이번 달을 끝으로 야간 외래 환자를 받지 않는다.

정부의 독려에도 지방의료원들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건 연장진료 시간대 환자들의 수요가 낮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의료원 의정부병원의 지난 3~7월 5개월 간 평일 연장진료 건수는 총 12건에 불과했고 6·7월은 아예 0건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도의료원 수원병원 35건, 안성병원 29건, 포천병원 106건, 이천병원 498건이었고 1개월 더 연장진료를 유지한 파주병원도 28건에 불과했다.

지방의료원 관계자들은 이를 두고 정부의 대책이 ‘보여주기식’에 급급했다고 지적한다. 도의료원 수원병원 관계자는 “정부가 의료대란을 막기 위해 지방의료원의 문을 늦게까지 열게 했지만, 환자들에게는 응급실과 개인병원 등의 대안이 있기 때문에 지방의료원 연장진료는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했다. 도의료원 포천병원 관계자도 “정부가 국민들의 의료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내세우기 위한 정책이라고밖에 생각이 안 든다. 환자가 없는데 연장진료를 더 이상 이어갈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처럼 지방의료원은 현실적인 이유로 연장진료가 어렵다는 입장을 앞세웠지만, 의료공백이 정상화되지 않은 시점에서 이 같은 방침을 내린 것을 두고 일각에선 공공성이 배제된 결정이라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주민 A씨는 “아무리 환자가 적다고 해도 언제 어떻게 아플지 모르는 건데, 환자들의 불안한 마음을 생각해서라도 의정갈등이 회복되기 전까지는 연장진료를 계속 유지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회장은 “지방의료원은 코로나를 겪은 이후 운영난을 겪고 있어 연장진료를 유지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며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 정부는 지방의료원을 우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