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국가철도망계획 우선반영사업 제외

성남시장 등 문제제기에 부지사 반박하자

李 시장 “책임 회피위한 엉성한 논리 변명”

지난 5월 1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공동 건의문 서명식’ 당시 정명근 화성시장, 이재준 수원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신상진 성남시장(사진 왼쪽부터)의 모습. /경인일보DB
지난 5월 1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공동 건의문 서명식’ 당시 정명근 화성시장, 이재준 수원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신상진 성남시장(사진 왼쪽부터)의 모습. /경인일보DB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 우선 반영 사업에 경기남부광역철도를 우선순위에서 배척한 것과 관련, 경기도와 일부 도내 일부 지자체간 갈등이 ‘공방전’으로 비화되는 모양새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28일 김동연 도지사에게 이와 관련해 ‘1대 1 토론’을 제안하고 나섰다. 이 시장은 전날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배척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 기자회견(11월28일자 1면 보도)을 열자 이에 대해 “김 지사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엉성한 논리로 변명한 것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영상+] 경기도, 경기남부광역철도 홀대 목소리에… “국가철도망 건의 배제 안해”

[영상+] 경기도, 경기남부광역철도 홀대 목소리에… “국가철도망 건의 배제 안해”

. 경기도가 GTX 플러스만 국토교통부에 우선사업으로 건의했다는 주장으로 경기도와 도내 지자체간 광역철도망 구축을 두고 갈등이 일자 경기도가 나서 논란을 일축했다. 27일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는 시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0166

이 시장은 “도가 김 지사의 선거공약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플러스 3개 사업(GTX G·H노선 신설, C노선 연장)을 최우선 사업으로 내세워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국토교통부에 건의하면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후순위로 미룬 것은 경기도 지역균형 발전을 고려한 것이라고 이야기했다”며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변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지사가 2022년 6월 지방선거 때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약했고, 2023년 2월 용인·수원·성남·화성시 등 4개 시 시장들과의 협약에서는 지하철 3호선 연장 또는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3호선 연장 대안)을 함께 추진하자고 했는데 그때엔 김 지사 머릿속에 지역균형 발전 개념이 없었다는 것이냐”라고 따졌다.

또 이 시장은 “김 지사는 지난해 2월 4개 시 시장과 협약을 하면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해 함께 의논, 해결 방안을 찾아 앞장서 중앙부처에 건의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며 “그런데 왜 4개 시 시장과 의논도 안하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뒷전으로 미루고 GTX 플러스 3개 사업만 앞세워 국토부에 건의했느냐. 무책임도 이런 무책임이 없다”고 비판했다. 덧붙여 GTX 플러스 3개 사업이 왜 맨 앞순위로 가야 하는지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라”고도 했다.

앞서 이 시장과 신상진 성남시장 등은 도가 최우선 순위로 GTX 플러스 3개 사업만 국토부에 건의했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은 배척했다고 문제를 제기한 바 있어 공방이 확산될지 주목된다.

한편 경기남부광역철도(서울 종합운동장역~수서역~성남 판교~용인 신봉·성복동~수원 광교~화성 봉담) 건설은 용인·성남·수원·화성시가 함께 추진하는 사업으로, 4개 지자체 공동 연구용역에서 비용 대비 편익(BC)값이 1.2로 나왔다.

용인/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