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농축산 농가와 사유시설 등 현재 피해액만 352억원 이상 집계


안성시가 지난달 27일과 28일에 내린 기록적인 폭설로 관내 공공 및 사유시설 파손과 농·축산·과수농가의 심각한 피해가 속출해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1일 밝혔다.
시는 지난달 30일 오전 9시 기준, ‘관내 폭설 피해현황’을 집계한 결과 농·축산·과수농가의 시설 등 1천여 건의 사유시설 피해와 공공시설 15건 등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고, 이로 인한 재산 피해는 총 352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관내 공장 등에서 캐노피와 천장 붕괴 사고 등이 잇따라 발생해 사망 2명과 경상 6명 등 총 8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또한 도농복합도시 특성상 농·축산·과수농가의 피해가 심각했는데 실제 재배면적 1천126ha 중 시설하우스와 포도비가림, 인삼재배시설 등 28%에 해당하는 316ha가 피해를 입었다.
피해에 따른 철거비용은 146억원이 신규 설치비용은 57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시는 예측하고 있다.
관내 농장주들은 “이번 폭설로 한 해 동안 공들인 농사를 망치게 된 것은 물론 무너진 비닐하우스 등 농가시설들을 수습하느라 정신이 없다”며 “자연재해로 어느 때보다 막막한 상황인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는 이 같은 피해 현황을 복구하기 위해선 지자체의 인력과 장비, 예산 만으로는 힘들다는 판단에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청할 계획임을 밝혔다.
김보라 시장은 “시는 언제나 시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를 최우선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만큼 시 차원에서 가용한 모든 인력과 장비, 예산을 투입해 시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돕겠다”며 “정부에도 현재 안성이 처한 현실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도움을 요청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폭설로 인한 피해 신고를 오는 6일까지 각 읍·면·동주민센터와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를 통해 접수 받은 후 별도의 현장 검증 등의 절차를 거쳐 복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