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피해’ 큰 경기 남부… 지자체 이어 주민들도 지정 촉구

 

안성시 등 지역농민단체 회견 열고

‘기후위기 문제’… 보상·복구 강조

피해 집계 진행에 규모 증가 가능성

화성시·용인시의회 등도 적극 호소

안성농민단체들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즉각 선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024.12.4 /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안성농민단체들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즉각 선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024.12.4 /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

지난달 117년만에 내린 기록적인 폭설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경기 남부지역의 조기 수습을 위한 ‘특별재난지역’ 지정 요구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용인·평택·안성·여주시 등 경기 남부권 지자체들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고 경기도도 힘을 보태며(12월3일자 1면 보도) 이들 지자체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성시와 이천시 등 지자체 및 용인·안성시의회, 지역 농민단체 등도 지정을 촉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폭설피해’ 평택·안성·용인 등… ‘특별재난지역’ 지정 요청키로

‘폭설피해’ 평택·안성·용인 등… ‘특별재난지역’ 지정 요청키로

일부 지역이 함께 특별재난지역 신청을 할 것이며 이외에도 피해가 많은 시군에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요청을 검토할 것”이라며 “특별재난지역을 신청하면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지난달 국회에 제출됐다. 국회와 정부가 빠른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0826

화성시는 지난 3일 “이번 폭설로 시 전역에서 피해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시 차원의 수습 및 복구에 투입할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폭설 피해를 신속하게 수습하고 시민들의 빠른 일상복귀를 위해 범국가적인 대응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많은 시민들이 피해로 인해 일상적인 삶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행정적 및 재난적 지원이 긴급히 요구되는 바 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한다”고 밝혔다. 또한 비닐하우스, 축사, 인삼 재배시설 등 농축산 분야에 집중된 피해를 입은 이천시도 막대한 피해 복구를 위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줄 것을 경기도를 통해 건의했다.

지방의회들도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뜻을 모으고 있다. 용인시의회는 이날 의원 일동 명의로 성명을 내고 “경기 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시점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폭설이라는 악재에 110만 용인시민의 일상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안성시의회도 4일 ‘안성시 특별재난지역 지정 촉구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시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지난 3일 기준 사유시설 총 1천966개소에 694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2명의 사망자가 포함된 총 8명의 사상자도 발생했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빠른 지원을 희망했다.

또 이날 전국농민회총연맹 안성농민회와 가톨릭농민회 안성시협의회 등 안성지역 농민단체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시청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성농민들은 지난 여름에 폭염으로 인한 과일과 쌀 등의 작물이 큰 피해를 입은 것에 이어 폭설 피해까지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는 기후위기로 촉발된 문제인 만큼 정부가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통해 보상과 복구 작업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평택시의회도 5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대설 피해에 따른 평택시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도내 피해 규모는 평택시가 500억원 이상, 화성시 1천여억원, 이천시 288억원, 여주시 122억원 등으로 추산되고 있다. 용인에선 비닐하우스 883동과 축사 162동 등이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 폭설 피해 집계가 완료되지 않은 만큼 향후 피해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지자체 부담 지방비의 일부를 국고로 추가지원 받게 되며 건강보험료 경감, 통신·전기료 감면 등 12개 항목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다.

/지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