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가 지난 달 내린 폭설로 인한 피해액을 1천828억원으로 확정하고 신속한 피해복구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시는 계엄 사태 후폭풍으로 인해 늦어지고 있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지난 달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관내에 최대 73cm의 폭설이 내려 공공시설은 물론 사유시설 및 축산업 시설 등이 파손돼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음은 물론 생계유지까지 어려워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 시는 폭설 피해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위해 피해신고를 기존 12월8일에서 13일까지로 연정했고, 이 결과 공공시설 21개소에 51억원, 사유시설 6천972개소에 1천774억원 등 총 1천828억원의 폭설 피해액을 확정했다.
폭설 피해액이 확정됨에 따라 시는 폭설 피해 복구를 위한 긴급 예비비 투입과 함께 별도의 센터 및 상황실을 구축하고, 시민을 향한 재난 심리 회복 사업을 병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폭설 피해 통합지원센터와 축산농가 대상 지원 상황실도 운영하며, ‘각종 피해민원 접수’와 ‘자연재난 피해자 복구자금 융자상담’, ‘국민연금 및 국세납부 유예상담’, ‘농작물 재해보험 상담’, ‘폐사축랜더링 및 건축물 해체 상담 및 지원’, ‘건축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해 분야별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계엄사태로 인해 늦어지고 있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이 설치돼 관내 피해 상황 조사를 마쳤으며, 피해액이 확정됨에 따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된 만큼 관계 부서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조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이끌어 내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보라 시장은“안성에 불어닥친 대규모 재난과 대통령 탄핵, 경제 위기 등 어느 때보다 힘든 연말을 보내고 있지만 저를 비롯한 공직자들은 오직 시민만을 생각하며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안성’을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겠다”며 “시민분들과 함께 대한민국은 물론, 안성의 봄을 되찾을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