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80% 이하땐 운송원가 지원
‘격일제 → 2교대’ 단계적 전환 밝혀
마을버스도 5 → 9개로 노선 시행
성남시가 내년부터 기존 33개 노선(300대)에서 35개 노선(371대)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확대한다.
시는 23일 “운수종사자 부족, 원가 상승, 적자 심화 등 버스 운영 여건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버스 배차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노선버스의 공공성을 강화해 주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내년 1월1일부터 추가로 ‘성남형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확대 시행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시는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2022년부터 준공영제 확대 사업을 추진해왔고 버스 노선의 폐지와 감축을 방지해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수익률 80% 이하의 적자 노선에 대해 운송원가를 전액 지원하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교통 소외지역을 운행하는 누리버스, 심야 및 새벽 시간대 운행하는 반디버스, 신규 개발지역, 도시 재생지역, 근로자 밀집지역, 출퇴근 시간대 전용 노선 등이다.
내년에 추가 확대되면 시내버스 전체 노선 46개(618대)의 약 76%에서 ‘성남형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게 된다.
시는 이와 함께 운수종사자의 안전 운전, 근로여건 개선 및 서비스 강화를 위해 시내버스 26개 노선(332대)을 대상으로 기존 격일제를 1일 2교대제로 단계적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또 내년 상반기에 시내버스 운수종사자 수급 상황, 임금 상승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한 후 하반기부터 운수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인센티브제 도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더불어 다른 준공영제 적용 대상인 마을버스는 기존 5개 노선(23대)에서 9개 노선(51대)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시는 교통 소외지역 및 근로자 밀집 지역 등 상시 이용률은 낮지만 시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단일 노선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마을버스 운수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월평균 1인당 지원비를 기존 13만원에서 15만원으로 인상해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수준으로 맞춘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2025년 확대 시행되는 성남형 준공영제는 저비용과 고효율의 탄력적 맞춤형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며 “이를 통해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노선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