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채 3천억 돌파… 빚더미 전가”
명품거리·시정연구원 설립 등 비판
市 “채무비율 등 철저 관리” 해명
관광 자원·일자리 창출 부연 설명

부천시의 지방채 증가 등 재정악화를 둘러싸고 국민의힘 소속 부천시의원들과 지자체 간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재정위기 책임론’을 들어 더불어민주당과 조용익 시장을 규탄하고 나선 가운데 시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미래 투자라고 맞서면서 대립각이 커지는 양상이다.
부천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난 24일 성명을 통해 “시는 부천아트센터 건립에 619억원, 웹툰융합센터 건립에 18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올해 말 기준 지방채가 3천억원에 이르고 있다”며 “조 시장이 빚더미를 미래세대에 전가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5년 상환이 도래하는 100억원 가량을 상환하지 못해 1.5% 이자율로 발행한 지방채를 3.510% 이자율의 지방채로 재발행해서 갚아야 하는 참담한 상황”이라며 “방만 경영과 혈세 낭비를 멈춰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특히 ▲부천로 명품거리 조성사업 ▲단발성 스케이트장 설치사업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추진을 혈세 낭비의 주요 사례로 꼽고, 이들 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반면 시는 시민 복지와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이자 재정여건을 고려한 결정이라며 국민의힘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시는 같은날 해명 보도자료에서 “시의 재정위기는 전국 지자체가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라며 “지방채 한도액과 채무비율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재정 여건이 개선될 경우 조기 상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부천로 명품거리 조성과 관련해 “대표 상권과 경제를 활성화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라고 했고, 스케이트장 조성은 “겨울철 야외 관광자원 개발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시정연구원 설립과 관련해선 “내년도 출연금 12억7천만원이 시 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규모라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한 뒤 “설립 초기에는 최소한의 인력만으로 오는 2027년까지 운영하며 초기 투입 예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