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6만7천가구 지구계획 승인
2029년 첫 분양·2031년 입주 목표
남북철도 등 광역교통 대책 확정도

총 6만7천 가구 공급을 목표로 3기 신도시 중 가장 넓은 면적인 광명시흥지구 주택공급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의 지구계획을 승인했다고 30일 밝혔다. 또 지구계획 승인과 함께 신도시를 관통하는 남북철도, 서울방면 직결도로 노선을 포함한 광역교통개선대책도 확정됐다.
광명시흥지구는 여의도 면적의 약 4.4배 수준인 약 1천271만㎡에 달하며 총 6만7천호의 주택이 공급될 계획이다. 이 중 3만7천호는 공공분양 1만3천호, 공공임대 2만4천호 등 공공주택으로 공급된다.
또한 판교 테크노밸리의 약 3배인 135만㎡의 자족용지와 서울 올림픽공원의 3배 규모인 445만㎡의 녹지공간이 배치된다.
지구계획에 따르면 광명시흥지구는 수도권 서남부 신성장 경제중심 ‘미래산업도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탄소저감도시’, 공간과 기능이 입체복합화된 ‘융·복합도시’를 비전으로 삼았다.
서울·인천·수원 등의 도시권 중심에 위치하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정보통신ICT 바이오산업, 연구개발(R&D) 기반 지식산업, 자동차클러스터 등 광역 산업 생태계와 연계한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히 사업부지는 철도와 도로망이 다양해 교통 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KTX 광명역, 지하철 1호선과 7호선이 지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가 인접해있으며 오는 2027년에는 광명~서울고속도로도 개통한다. KTX 광명역에서 출발해 광명시흥지구를 거쳐 서울로 가는 남북철도는 2031년 개통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같은 환경을 활용해 남북 2개·동서 5개 축으로 구성된 격자형 도로망 골격을 조성하고, 광역교통사업을 추진해 광명시흥지구를 ‘사통팔달 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향후 사업진행은 오는 2025년 보상공고, 2027년 택지 착공 등을 거쳐 2029년 첫 분양, 2031년 최초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광명시흥지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견인하는 서남권 핵심 명품 신도시로 조성돼야 한다”며 “제2경인고속도로 지하화, 과림저수지 특화 수변공원 조성, 중심기업 유치, 남북 철도(국가 운영) 국책사업 추진, 신천~신림선 반영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박승원 광명시장은 “우수 기업 유치, 양질의 일자리 창출, 편리한 교통망 구축, 다양한 생활 SOC 확보를 위해 국토부, 경기도, 시흥시, LH 등과 협력해 광명시흥 신도시가 직·주·락 도시이자 자족형 명품 신도시, 글로벌 문화수도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흥/김성규·김성주기자 seongkyu@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