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구역 지정

공동주택·주차장·생활시설 등 조성

성남 수진1 재개발 정비사업 조감도. /성남시 제공
성남 수진1 재개발 정비사업 조감도. /성남시 제공

낙후된 성남 수진1과 상대원3구역의 주거환경 개선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성남시는 2030-1단계 재개발사업인 수정구 수진동 963번지 일원의 수진1 재개발 정비사업에 대해 사업시행계획인가를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정비구역 면적은 26만1천831.4㎡로 지하 7층, 지상 15층 규모의 공동주택 59개동(4천844세대)과 오피스텔(216세대)이 신축된다.

경로당, 어린이집, 작은 도서관, 주민 운동시설 등 부대복리시설과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등도 지어지며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1만5천974㎡ 면적의 근린공원과 주차난 해소를 위해 3천100㎡ 규모의 노외주차장도 조성된다.

이와함께 시는 ‘2030 성남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라 2030-2단계 재개발사업 대상지인 중원구 상대원동 2780번지 일원(상대원3구역)을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고 이날 밝혔다.

상대원3구역은 총 45만470㎡ 규모로 공동주택(29만119㎡)과 근린생활시설(2만838㎡)을 비롯해 주차장, 공원, 녹지, 동 행정복지센터 및 다함께돌봄센터·실내체육시설 등의 복합공공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공동주택은 총 8천792세대(분양 7천267세대, 임대 1천525세대)규모로 계획됐다.

특히 상대원3구역은 전국 최대 규모의 재개발 대단지로 교육·문화·경제·체육·복지 등 다양한 주민지원시설 확충과 원도심의 부족한 기반시설을 보완할 계획이다.

이번 재개발사업은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세입자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다른 구역과 동일하게 순환정비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한국개발연구원에 공기업·준정부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며, 시는 조사 완료 후 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낡고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해 수진동과 상대원동 일대 주거 수준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성남지역 원도심 재개발사업은 14개 구역에서 사업이 완료되었거나 추진 중이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