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만㎡가 10년 넘게 흉물 방치”

서명운동 등 지속적 활동 입장

단체행동에 市 “시행사와 협의”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전경. /부천시 제공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전경. /부천시 제공

부천 지역주민들이 영상문화단지 개발사업(2024년 7월25일자 10면 보도)의 조기 추진을 촉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부천 노른자 땅’ 영상문화산업단지, 10년째 방치에 주민들 반발

‘부천 노른자 땅’ 영상문화산업단지, 10년째 방치에 주민들 반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4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영상문화단지 복합개발사업이 예정된 상동 일대 아파트 주민들은 최근 개발 추진을 촉구하는 내용의 현수막을 일제히 내걸었다. 상3동 내 14개 아파트 단지에 걸린 현수막만 30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현수막에는 '시민 80%가 찬성한 영상단지개발사업 부천시는 당장 착수하라'는 글귀가 적혔다. 상동 아파트연합회 관계자는 “부천의 핵심 노른자위 땅이 장기간 방치되고 있다"며 “'더 이상 안되겠다'고 여긴 주민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현수막을 제작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앞서 2014년부터 시작된 영상문화산업단지 개발사업은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2019년에서야 GS건설컨소시엄을 우선협약대상자로 선정했다. 2021년 '사업협약 체결'이 이뤄지며 본격적인 추진에 속도가 붙는 듯 했지만 정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해 시와 사업자 간 개발방향 및 사업성 등을 둘러싼 이견이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이 때문에 개발사업은 착공이 예정됐던 2022년 이후 2년이 넘도록 뚜렷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개발사업이 계속 지연되면 집단 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주민 A씨는 “주민들의 요구는 이 비싼 땅을 흉물로 방치하지 말고, 하루 빨리 개발을 하라는 것"이라며 “조만간 SNS를 통한 주민소통 공간에서 중지를 모아 시에 입장을 전달하고, 이후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으면 피켓 시위 등 반발 강도를 높여가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사업자 측과 여러 부분에 걸쳐 협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사업계획 등이 불확실한 상태"라며 “추진 시기의 문제보다는 사업을 그대로 진행할지 말지에 대한
https://www.kyeongin.com/article/1701942

9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부천영상문화단지 조기 개발 추진 시민 모임’은 지난 8일 “시 노른자 땅으로 38만㎡가 넘는 영상문화단지가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채 10년 넘게 흉물로 방치되고 있다”며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원을 시에 접수했다.

이들은 청원에서 “지역주민 80%는 2021년 설문조사에서 해당 사업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혔고, 우선 추진해 달라고 요구해 왔다”며 “그러나 시는 주민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사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빠른 사업 추진을 위해 시와 사업자, 주민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도 제안했다. 이들은 “매년 900억원 이상 지방재정 확충 효과, 10년간 약 50조원의 생산 및 부가가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영상문화단지 사업을 더 이상 늦출 이유도, 명분도 없다”며 “당장 주민대표와 부천시장, 관련 실무자, 사업자 간 협의체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사업 진행 일정을 공유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는 주민들이 지난해 7월 사업부지가 있는 상동 일대에 개발 추진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내건 데 이어 사실상 단체행동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주민들은 다음 행보로 추가적인 서명운동에 돌입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에 나서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명례 부천영상문화단지 조기개발추진시민모임 대표는 “10년 넘게 시 중심지가 흉물로 버려져 있는데 대형 개발사업에 적극적인 인근 지자체와 비교하면 상대적인 박탈감이 든다”며 “시는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인허가에 착수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빠른 결정을 위한 논의에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시는 이달부터 시행사 등과 쟁점 사항에 대해 적극적인 협의를 이어가려 한다”며 “사업 추진 가부 등에 대해 속도감 있게 윤곽을 잡아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