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증가세 속 관내 장사시설 없어
타지 화장장 이용시 최대 50만원 지급
시 광역화장장 추진 재공모도 ‘실패’
‘60% 주민동의율’ 개선 필요 목소리
종합장사시설이 없는 광주시가 타 지역으로 ‘원정화장’을 떠나는 시민들을 위한 지원금 규모가 연 6억원을 넘어선 가운데 화장장 설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시의 총인구는 39만7천605명(남성 20만2천621명, 여성 19만4천984명)이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10만1천750명(남성 4만8천872명, 여성 5만2천878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연도별 사망자수는 2021년 3만1천772명, 2022년 3만3천939명, 2023년 3만5천961명, 2024년 3만8천141명으로 증가세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관내에 종합장사시설이 없다보니 광주 시민들은 인근의 수원 연화장, 성남 화장장, 용인 평온의 숲, 서울 추모공원 등 타 지역 화장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심지어 강원 춘천시나 충북 청주시까지 가야하는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원정화장으로 인한 비용 부담도 크다. 15세 이상 사망자가 수원 연화장, 성남 화장장, 용인 평온의 숲 등을 이용할 경우 해당지역 시민은 5만~15만원이면 되지만 광주시민은 90만~100만원을 지불해야 한다.
이에 시는 시민들이 사망으로 인해 타 지역 장사시설을 이용할 경우 1인당 최대 50만원을 지급, 실 소요비용을 보존해주고 있다. 이렇게 지난해 지급된 종합장사시설 총 지원금액은 6억5천만원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광주지역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원정화장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이 언제까지 계속될 수만은 없다는 것이다.
최근 시가 추진 중인 광역화장장 건립사업 후보지 공개모집에서 신청지들이 60% 이상의 주민동의를 받지 못해 부적격 처리됐다.
앞서 시는 건립후보지 선정을 위해 지난해 8월~11월 공모를 진행했으나 적격한 마을이 없어 11월부터 1월2일까지 재공모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남한산성면 엄미1리와 광지원리가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2곳 모두 60% 이상의 주민동의를 받지 못해 부적격 처리(1월6일자 9면 보도)됐다.
이에 따라 하남시와 공동으로 추진, 오는 2029년까지 완료하겠다는 종합장사시설 건립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와관련 ‘60% 이상의 주민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신청요건이 종합장사시설 건립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희망하는 마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주민동의율 때문에 번번이 무산되고 있다”며 “동의율이 낮더라도 시에서 직접 인센티브 및 비전 제시 등 적극적인 주민설명을 통한 설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시가 계획하고 있는 종합화장시설은 부지면적 5만~10만㎡에 화장로 5기 이상,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을 갖춘 시설로 부지가 확정된 마을에는 100억원의 인센티브와 30억원의 기금 지원, 카페·식당 등의 운영권을 주는 등 다양한 혜택을 부여한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