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80% 수입차 주차 ‘비판 쇄도’
수출입 활성화·고용 미지근 한데
2차 지정 시도, 반대 여론 들끓어
“혜택, 수출 업체들에 돌아가야”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을 해외에서 생산·수입된 차량을 보관, 출고하는 PDI(Pre Delivery Inspection) 업체들이 대거 독식(1월6일자 8면 보도)하면서 업종 간 불균형이 심해지자 ‘자유무역지역 해제론’이 나오는 등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12일 평택지방해양수산청, 평택시 발전협의회 등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평택항 자유무역지역은 2010년대 항만 배후 권역 수출입 활성화, 대규모 고용 창출 등을 목적으로 조성돼 당시 국내외 관련 업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 사용 임대면적 100만2천241㎡ 중 PDI 업체인 A사 등 9개사가 81만194㎡(80% 이상)를 차지하자 자유무역지역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수입차 전용 주차장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특히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주변에 조성된 민간개발 부지를 분양받은 PDI 업체들이 최근 이곳을 2차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받으려 하자 국내 수출입 업체, 지역정치권, 지역사회로의 반대 여론이 번져 나가고 있다.
지역정치권, 시민단체들은 “정부는 자유무역지역 지정 당시 1만여 명의 고용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주요 원산품 집산에 따른 우수한 원자재의 저렴한 확보로 국내 제조업 발전 효과를 홍보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그러나 지금은 전체 고용은 1천명 정도에 불과하고 평택항 수출입 활성화도 미비하다”며 “자유무역지역을 과감히 해제하고 그 공간을 수출입 업체들의 전진 기지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각종 세제 혜택, 저렴한 임대료 등의 지원은 수출 주도형 제조·생산, 물류 업체들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수입 주도형 자유무역지역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반응하고 있다.
한편 자유무역지역 입주업체 모집과 심사 당시 부지를 임대 받기 위해 PDI 업체들이 관련 기관에 제출한 사업 내용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처리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