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족용지 활용, 8만8천명 고용 예상

교통환경·인접산업 등 여건 유리

비용편익분석 1.24… 경제성 갖춰

광명시흥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대상지 /광명시 제공
광명시흥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대상지 /광명시 제공

광명시가 시흥시와 함께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내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 나선다.

시는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주관하는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 공모에 참여하기 위한 신청서를 20일 제출할 예정이다. 광명·시흥 지구 내 자족시설 용지 74.9만㎡를 중앙부와 남부로 나눠 각각 인공지능·미래차 연구개발과 문화·바이오집적 용지로 개발해 지식집약산업 R&D 메카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기업 입주로 인해 순수 지식집약산업 종사자만 8만8천여 명을 고용할 수 있으며, 연간 4조4천393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10%인 4천439억원이 광명과 시흥시 관내에 돌며 연간 8천876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한 부가가치 창출효와 경제성 분석에서 비용편익(B/C)은 1.24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충분한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

광명·시흥 지구가 갖춘 편리한 교통환경과 인접 산업 생태계 등 풍부한 배후 여건이 가능성을 높인다.

이와함께 ‘수도권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시범노선’ 개발과 현대자동차와 함께 추진 중인 3기 신도시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 사업’ 등 도시 전체가 AI(인공지능)·모빌리티 실증 및 연구의 전진기지로 자리 잡고 있어 시너지가 기대된다. 인접한 광명·시흥 테크노밸리와 연계해 ICT(정보통신기술), BT(생명공학), 스마트 R&D(연구·개발), 물류 등으로 근거리에서 제조업과 연계할 수 있다.

위치상 G밸리, 여의도, 안양, 판교, 강남 등 근거리에서 첨단 IT산업 생태계와 교류할 수 있고, 반도체 벨트, 자동차 및 전자부품 생태계, 인천과 안산의 전통 제조업까지 광범위한 산업생태계와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흥 지구의 대규모 자족용지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최근 메가 트렌드를 반영함과 동시에, 혁신기업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수”라며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