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주관… 용적률 향상 등 이점

 

2020년부터 추진한 역점사업

관계기관 의견조율 어려움 겪어

선도사업 선정으로 돌파구 마련

안양시 범계 공공복합청사 개발사업이 정부의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에 선정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게 됐다. 사진은 범계동 행정복지센터 전경. /안양시 제공
안양시 범계 공공복합청사 개발사업이 정부의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에 선정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게 됐다. 사진은 범계동 행정복지센터 전경. /안양시 제공

관계기관 간 의견차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던 안양시 ‘범계 공공복합청사 개발사업’이 돌파구를 마련했다.

안양시는 정부가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에 범계 공공복합청사 개발사업이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정부의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노후한 공공건축물을 복합개발하고 유휴시설을 임대주택, 공익시설 등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선도지구에 선정되면 정부 주도의 사업추진체계 마련, 국비 지원, 용적률 상향 등 다양한 지원과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게 돼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범계 공공복합청사 개발사업은 2020년 12월 경기도와 안양시, 경기주택도시공사(GH), 안양도시공사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이다. 범계역 인근의 공공청사를 현대화하고 역세권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추진했으나, 사업비 부담 및 임시 대체시설 부지 문제 등을 놓고 기관들 간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사업추진이 지연돼 왔다.

돌파구를 찾던 안양시와 경기도는 해당 사업이 정부의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 취지와 맞는다고 판단하고, 지난해 9월 선도사업 후보지 신청을 내고 선정을 위한 물밑작업을 진행해 왔다.

시는 이번 노후청사 복합개발 선도사업 선정을 계기로 범계 공공복합청사 부지에 포함된 범계동 행정복지센터, 119구조대, 범계지구대 등 공공청사를 현대화하고, 청년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선도사업에는 안양시를 포함해 부천시·의정부시·고양시·군포시 등 도내 지자체와 서울특별시·충남 천안시 등 전국 10개소가 선정됐다.

안양/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