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시장이 22일 기흥ICT밸리에서 열린 신년 언론브리핑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2025.1.22 /용인시 제공
이상일 용인시장이 22일 기흥ICT밸리에서 열린 신년 언론브리핑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2025.1.22 /용인시 제공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사업의 공과를 따져보자며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이 시장은 22일 오전 기흥ICT 밸리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민선8기 출범일인 2022년 7월1일부터 이날까지 용인시와 경기도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지하철 3호선 연장 포함)과 관련해 발표한 보도자료 내용을 일지 형식으로 공개하고 비교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시장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지금까지 경기도가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김 지사가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위해 노력한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며 “제가 지난해 11월10일부터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과 관련해 김 지사와 경기도의 나태함, 무책임을 비판하기 전에 김 지사가 이 사업을 위해 한 일은 2023년 2월 용인·수원·성남·화성시 등 4개 시장과 협약을 맺은 것 외에는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고 직격했다.

이 시장은 “용인시가 시장의 활동을 상세히 알리듯 경기도 역시 도지사의 활동을 보도자료를 통해 열심히 알린다”며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의 대안사업으로 추진이 결정된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과 관련해 시와 도의 보도자료를 대조하면 용인시와 시장은 열심히 뛰었고, 도와 김 지사는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음을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경기남부광역철도와 관련해 지난해 11월10일부터 2023년 2월 당시 협약을 위반한 김 지사의 무책임과 경기도의 안일함을 수시로 지적한 뒤에서야 비로소 경기도가 이 사업에 대해 언급하고 보도자료도 냈는데 대부분 변명이었다”며 “일을 열심히 하고 나서 생색을 내는 건 좋지만 그동안 GTX플러스 3개 사업이란 다른 철도사업에 공을 들이다가 경기남부광역철도에 무관심했던 사실이 드러나자 비판론을 희석하기 위해 ‘잘하겠다’, ‘잘될 것’이라고 하는 경기도의 태도는 정정당당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시장은 또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 실현을 위해 경기도와 용인·수원·성남·화성시 등 4개 시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입장을 경기도가 이제서야 개진한다고 들었는데, 그동안 협력을 기피한 쪽이 어디인지 쉽게 판가름할 수 있다“며 “지난해 9월16일 김 지사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용인·수원·성남·화성시 등 4개 도시 시장과 만남을 갖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사업 실현을 위해 논의하자고 했고, 김 지사도 좋다고 했지만 이후 김 지사 비서실에선 시장들과의 미팅 일정을 잡아달라고 셀 수도 없이 여러 번 연락한 용인시장 비서실의 요청을 외면했으니 누가 힘을 모으지 않고 있는지는 명약관화하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지난해 11월11일 김 지사가 도내 31개 시·군의 기관장들과 정책간담회를 가졌을 때 간담회 전후로 4개 시 시장들과 잠깐이라도 만나자는 용인의 요청도 김 지사 측은 거부했고, 시장·군수 간담회가 끝난 뒤에 내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 논의를 위해 4개 시 시장들과 안 만날거냐’라고 했을 때 김 지사는 ‘만나겠다’고 해놓고 지금까지 만나지 않고 있다”며 “당시 이 대화를 이재준 수원특례시장도 들었는데, 이렇게 불통이 심한 김 지사를 놔두고 경기도가 이제 와서 협력 운운하고 있으니 기가 찰 일”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처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사업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해 분주히 움직였기 때문에 이 사업과 관련한 용인시 보도자료가 다른 도시나 경기도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지난해 11월10일부터 김 지사와 경기도를 비판하자 김 지사와 도는 그때서야 해명한다는 명분으로 변명하며 일을 하는 시늉을 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시장은 “시와 경기도 보도자료를 비교해 보면 그동안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위해 누가 열심히 일했고, 누가 약속도 위반하며 무책임하게 행동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다”며 “일을 열심히 한 사람은 평가받고, 무책임한 태도를 취한 사람은 비판받는 게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시장은 “김 지사 문제를 지적하지 않고 지금까지 잠자코 있었다면 김 지사와 경기도는 경기남부광역철도를 방치한 채 GTX플러스 3개 사업만 조용히 챙기려고 했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 시장은 “줄기차게 문제를 제기해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사업에 대한 관심은 증폭됐고, 국토교통부도 더 큰 관심을 기울이게 됐다”며 “얼마전 수지구 시민 1만8천명 이상이 서명해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꼭 실현해 달라며 서명부를 제게 전달했는데, 사업이 반드시 성사되도록 하겠다”고 역설했다.

이 시장은 “이 사업이 실현될 경우 김 지사에게 돌아갈 공(功)은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밝힌다”며 “김 지사가 4개 시 시민의 염원을 저버리는 행동을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수서역~화성 봉담)의 대안 사업으로, 서울 종합운동장역에서 수서역을 거쳐 성남 판교, 용인 신봉·성복동, 수원 광교, 화성 봉담까지 50.7㎞를 잇는 사업이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