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22곳중 절반이 다권역업체
일감 3분의 1로, 규모 밀려 발주난
타지역사 가세… “지원 제도 절실”

전국적으로 건설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화성지역 중소 레미콘 업계가 도산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더욱이 인근 평택시, 안산시 지역 레미콘 업체들도 호시탐탐 화성권역 일감을 따내면서 가뜩이나 줄어든 물량 속에 중소 업체들이 좀처럼 불황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25일 화성시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화성시에는 22곳의 레미콘 공장이 운영 중이며 이중 절반인 11곳이 전국에 여러 레미콘 공장을 보유한 업체인 다권역사(대기업) 소유다.
그러나 건설업황의 장기 침체 속에 일감은 평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고 그나마 대기업의 발주자체가 다권역사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사실상 화성지역 중소 레미콘 업체는 엎친 데 덮친 격의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다 평택시 또는 안산시 레미콘 업체들의 화성 동탄신도시와 송산그린시티 등 접경지역 중심으로 침공이 가속화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고 있으며, 장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부도위기를 맞고 있다.
화성지역의 A사 관계자는 “수원, 안산, 평택 지역 업체가 지금처럼 일감 확보를 위해 화성권역을 침공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일감이 줄어들면서 도산하는 업체가 발생할 수 있다”며 “발주 자체가 다권역사 위주로 이뤄지고 지역 중소업체를 추가로 끼워넣기하는 수준의 현행 시스템에선 버티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B사 관계자도 “화성시는 지역업체 보호를 위한 제도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보호를 받은 적이 없다. 현실에선 다른 지역 업체 배불리기에 화성시가 관망만 하고 있다”며 “반면에 화성지역 업체들이 다른 지역에 진출하면 적지않은 트집을 잡아 많은 불편을 겪고 있어 관내에서만이라도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화성시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기업 생산품 및 서비스 우선구매 규정을 만들어 널리 전파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화성지역 업체 이용을 적극 권장하는 수준이지 현실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고 밝혔다.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