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고기동 산 비탈면에 사회복지시설 조성을 두고 주민들이 통학로에 산사태 등 위험요소가 있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은 용인시 고기동 사회복지시설 공사 현장. /경인일보DB
용인시 고기동 산 비탈면에 사회복지시설 조성을 두고 주민들이 통학로에 산사태 등 위험요소가 있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은 용인시 고기동 사회복지시설 공사 현장. /경인일보DB

용인시 고기동 노인복지주택 공사 현장에 방치된 토사 반출을 놓고 고기초등학교 학부모와 주민들 간에 갈등이 빚어지자 용인시가 중재(1월22일자 10면 보도)에 나선 가운데 주민 협의를 거쳐 한시적으로 토사 반출을 허용키로 했다.

‘고기동 복지시설’ 토사 반출 갈등… 용인시 중재에도 마찰 여전

‘고기동 복지시설’ 토사 반출 갈등… 용인시 중재에도 마찰 여전

만약 토사물을 치우기 위해 공사 차량이 통행할 경우 학생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될 것을 우려하는 학부모들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21일 용인시 등에 따르는 시는 이날 수지구청에서 ‘고기동 사회복지시설 사면 안정화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7123

시는 2023년 8월 주민들과 고기초등학교 학부모들이 학생들의 안전 문제를 제기한 해당 현장에 공사 차량 운행계획 협의 전까지 공사 차량 운행을 제한해왔다.

공사 현장은 총 18만4천176㎡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15층, 건물 16개동, 892가구가 입주하는 노인복지주택 건립 사업의 실시계획이 인가된 상태다.

이후 임야 벌목, 묘지 이장 등이 진행되다가 지난해 4월 우기에 대비해 해당 현장 상부에 옹벽 등을 설치하는 수방대책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 토사가 공사차량 운행 제한으로 반출되지 못해 내부 경사면에 쌓였다.

이를 두고 현장 인접 토리마을 주민들은 하루빨리 토사를 반출해 공사장의 위험요인을 줄여달라는 요청을 했고 고기초 학부모들은 아이들 안전을 이유로 공사 차량이 학교 인근 도로를 경유하는 것에 반대해왔다.

이에 시는 위험 여부 검증을 위해 지난해 12월 용역을 진행, 성토된 사면의 불안정성으로 사면 안정화가 필요하고 토사 반출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시는 ‘용인시 기술자문위원회’ 자문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달 고기초 학부모회와 토리마을 주민, 전문가(용역사 및 자문위원), 시의원 등이 참석하는 설명회를 열고 양측의 입장을 고려해 토사 반출, 공사 방법, 반출 시기 등의 절충안을 제시했다.

우선 안전상 반출이 시급한 사업장의 상단부 두 구역의 토사는 학생들의 통행이 적은 방학기간 중에 반출하고, 하단부의 일부 구역을 실시설계를 거쳐 오는 3~5월 순차적으로 공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 1일 주민설명회에서 토사 반출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교통처리계획 및 안전대책에 대해 주민 의견을 받아 사업장과 고기초, 고기교 주변에 신호수와 보행안전원을 충분히 배치해 보행 안전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했다.

시는 공사 차량 운행은 사면 안정화 공사 기간으로 제한하고 공사가 끝나면 기존 공사 차량 운행 제한 조치를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안전에 대해선 경중을 따질 수 없기에 고기초 학생들과 인접 주민들의 안전을 모두 고려해 토사 반출을 위한 한시적 공사 차량 운행을 허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