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절된 도시 공간 연결한 입체복합문화공간 마련 중점
정약용 철학 담은 교육·학습 기회 및 청년 인프라 지원
미래형 도시공원 구축해 사계절 내내 즐기는 공간 선사
“정약용 공원은 시민들이 휴식과 힐링을 즐길 수 있는 남양주의 대표적인 랜드마크가 될 것입니다.”
남양주시 도농동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가칭)정약용 공원 사업이 막을 올렸다.
시는 5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다산신도시 내 경의중앙선 철도 복개 상부 공간에 입체복합문화공원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사업의 출발을 알렸다.
이번 사업은 다산지금 공공주택지구 내 정약용도서관과 경춘로 사이에 있는 경의중앙선 철도를 복개해 그 상부와 주변 토지를 공원화하는 것으로 약 5만9천500㎡ 규모로 조성된다.
정약용 공원은 정약용 선생의 철학과 가치를 담아 새롭게 탄생할 예정이며 자연 속에서 문화와 교육,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철도에 의해 단절된 도시 공간을 연결하고 시민들이 편안하게 즐기면서 힐링 및 치유받을 수 있는 입체복합문화공간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정약용 아카데미를 운영해 시민들에게 교육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 창업 공간을 도입해 창업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실내 정원을 포함한 미래형 도시공원을 구축해 시민들이 사계절 내내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토대로 GH와 긴밀히 협력해 사업을 더욱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지구계획 변경을 위한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 및 실시설계용역 등 행정절차를 진행해 오는 2026년 착공, 2027년 가을께 완공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주광덕 시장은 “도시의 품격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