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여객부두 미가동·이용객 안전 위협에
이병진 의원 주관 현장점검 직접 참여·약속
일각 ‘뒷북 대응’ ‘예산 낭비의 표본’ 시각도

“중요 부두시설이 제 기능을 찾도록 서두르겠다.”
수천억원짜리 여객부두 미가동 등 평택당진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총체적 난국’(1월20일자 8면 보도)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에 해양수산부 장관이 직접 현장을 찾아 조속한 개선을 약속했다.
지난 7일 이병진(평택을) 국회의원 주관으로 평택당진항 국제여객터미널(이하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정상화를 위한 긴급 현장 점검이 실시됐다. 이 의원을 비롯해 강도형 해수부 장관, 정장선 평택시장, 남재헌 해수부 항만국장,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 김석구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및 관계기관 공무원 등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강 장관은 여객부두의 개선을 약속했다.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도경식 평택해수청장은 “불편한 부분을 바로 개선하겠다”고 언급하며, 여객부두 정상 가동 시기는 내년 4월쯤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 시장은 “국가 예산으로 건립된 국제여객터미널과 여객부두가 정상 운영되고 있지 않아 지역사회가 크게 우려하고 있다. 평택시도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협조하겠다”고 했다. 이 의원은 “개선할 부분은 과감하게 고쳐야 한다”며 여객부두 가동 중단을 우회적으로 지적한 뒤 “여러 문제와 건의 사항 등이 빠르게 해결될 수 있도록 집중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이 같은 해수부 장관의 개선 약속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선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문제점을 건의할 땐 거들떠보지 않다 ‘뒷북 대응’을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특히 잘 가동되던 옛 여객부두를 놔두고 수천억원을 들여 새로 지었다가 다시 옛 여객부두를 사용하게 된 것은 ‘예산 낭비의 표본’이라는 주장이다.
또 부두 폭 협소, 컨테이너 장치장 면적 부족 등의 이유로 새 여객부두의 정상 운영 역시 당장은 어렵다는 관측이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