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도입한 ‘스마트경로당’이 높은 주민만족도 속에 전국에서 벤치마킹이 이어지며 호평받고 있다.
시는 스마트경로당이 2021년 전국 첫 도입 후 어르신 맞춤형 교육·여가 복지·건강 프로그램을 입체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해 전국 경로당의 표준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주민 만족도 역시 지금까지 19만여 명의 어르신이 참여했고, 10명 중 9명이 운영 전반에 만족한다는 답변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키오스크·스마트기기 활용법 교육이 인기를 끌었다는 평가다. 시는 실전 연습을 위해 올해 말까지 키오스크 150대를 경로당에 설치하고 어르신이 사용 방법을 익힐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부천시 스마트경로당에서 키오스크 교육을 받은 어르신들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물건을 구매하고 있다. 2025.2.11 /부천시 제공](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11/news-p.v1.20250211.dcea983470f649419ea7bca84a11fb42_P1.webp)
아울러 안전한 노년 생활 지원에도 힘쓴다. 시 경찰서 소속 강사가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문자결제사기(스미싱) 예방법과 보행 안전 수칙, 교통사고 예방법을 안내해 교육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실버로빅, 밸런스 워킹, 웃음치료, 노래교실 등 여가 복지 수업도 주 4회 운영한다. 원예치료 효과가 있는 IoT 스마트팜에서는 쌈 채소를 재배하고, 신선한 먹거리도 나눈다.
노인 일자리와 연계한 ‘스마트경로당 관리사’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화상 프로그램 접속, 건강수치 측정 등 스마트경로당의 프로그램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는 48명이 근무한다. 아울러 부천시민미디어센터 교육 수료자 1인을 노인 일자리 참여자로 채용, 스마트경로당 프로그램을 촬영·편집해 전파한다.
![조용익 부천시장이 스마트경로당 ICT 화상플랫폼을 활용한 웃음치료 프로그램에서 참여자들에게 인사를 전하고 있다. 2025.2.11 /부천시 제공](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11/news-p.v1.20250211.55149ee2fb7d403f930c6f92010102e6_P1.webp)
스마트경로당 사례를 배우기 위한 지자체의 발걸음도 이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경기도청과 용인시·광명시 등 45개 지자체를 비롯해 서울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등이 방문했다.
시는 이를 통한 상생에도 앞장선다. 오는 2026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북도 부안군 등 섬·산간 3개 지역 9개소에 부천형 스마트경로당 프로그램을 무상 지원할 계획이다. 또 강원도 산간 지역 경로당 6개소를 대상으로 수요조사 후 부천형 스마트경로당 프로그램을 무상 지원할 계획이다.
조용익 시장은 “스마트경로당은 시의 스마트 기술과 지역 공동체에 대한 따뜻한 관심으로 만든 성과”라며 “앞으로도 어르신 생활에 꼭 필요한 전문 프로그램과 문화공연 발굴·고도화하는 한편,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