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신청 3곳중 주민등록상 60% 이상 동의 ‘유일’

시, 타당성조사용역·현장실사 걸쳐 5월 최종 선정

지난해 9월 평택시가 추진 중인 평택 공설 종합장사시설 유치에 관심이 많은 지역 주민들이 수원 연화장을 방문,  시설 현황과 운영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평택시 제공
지난해 9월 평택시가 추진 중인 평택 공설 종합장사시설 유치에 관심이 많은 지역 주민들이 수원 연화장을 방문, 시설 현황과 운영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평택시 제공

평택시 공설종합장사시설 건립 후보지 재공모 결과 진위면 은산1리 마을이 1차 후보지로 선정됐다.

14일 평택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달간 진행된 재공모에 진위면 은산1리, 오성면 양교6리, 포승읍 만호리 등 3곳이 유치를 신청했다. 이후 시는 지난해 12월12일부터 30일간 서류심사를 진행, 진위면 은산1리 마을이 통과했다고 이날 밝혔다. 주민등록상 60% 이상의 세대주 동의를 받은 곳은 은산1리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은산1리 마을에서 신청한 부지에 대해 입지 타당성 조사 용역과 건립추진위원회 현장 실사를 거쳐 오는 5월 중 최종 건립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후보지가 결정되면 시는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계획시설 결정, 기본구상 용역, 행정안전부 투자심사 등의 행정 절차를 거친 뒤 늦어도 오는 2028년 이내에 착공해 2030년 준공 및 개장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평택지역은 경기남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화장시설이 없어 시민들이 타 지자체로 ‘원정 화장’을 가야하는 등의 불편과 시간·경제적 부담으로 장사시설 건립 필요성이 제기(2024년 11월12일자 8면 보도)돼 왔다.

“작별의 순간에도 ‘대기표’ 뽑아야하나”… 화장장없는 평택 ‘설움’

“작별의 순간에도 ‘대기표’ 뽑아야하나”… 화장장없는 평택 ‘설움’

시간에 맞춰 이동해야 하는 등 고인을 잃은 황망함에 더해 황당한 상황을 맞게 된다.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새벽 시간대나 오후 늦은 시간대 수백 ㎞ 거리의 장거리 원정 화장에 나서야 하는 등 장례 절차가 엉망이 되기도 한다. 3일장은 4일장이 되고 조만간 5~6일장을 지내야 할 수도 있어 가족·세상과 작별하는 마지막 순간에도 '화장 대기표'를 받아야 하냐는 탄식까지 나온다. 원정 화장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도 만만찮다. 화성·수원의 경우 화장비용이 관내는 15만~16원만원(만 15세 이상)지만 관외는 100만원이다. 용인 역시 관내는 10만원이지만 관외는 90만원 등으로 평택시민들의 화장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 같은 불편함과 시간·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는 이유는 평택지역에 장례, 화장, 안치 및 추모 등을 원스톱에 진행할 수 있는 '장사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경기남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평택시에만 없지만 당장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지역의 화장 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 평택시의 '2023년 장사시설 수급 계획' 연구용역 결과, 2022년 말 기준 사망자 3천92명 중 화장률은 91.4%로 오는 2032년에는 96%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평택지역 장사시설 필요성과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시가 최근 시민 400명을 대상으로 한 '종합 장사시설 설치 시민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찬성 55%, 반대 9.4%로 긍정 의견이 높았다. 이와관련 경기연구원 남지현 균형발전지원센터장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화장장이 없는 평택지역의 경우 늦게 조성하는 만큼 첨단시설을 갖춘 친환경적 화장장을 건립해야 한다"며 “평택은 경기도, 충청도와 연결되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만큼 미래 수요가 반영된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8007

시는 이 같은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20만㎡ 부지에 화장로 10기를 갖추고 봉안당과 자연장지 등 7만기를 안장할 수 있는 종합장사시설 건립(사업비 1천500억원 추산)을 추진 중이다.

장사시설 유치 마을에는 50억원을 투입해 숙원사업을 진행하고 마을 주민에게는 부대시설 운영권과 근로자 우선 채용권, 마을 발전기금 조성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시 관계자는 “유치 신청지에 대한 주변지역의 교통, 환경, 지가 하락 등 우려사항은 설명회를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장사시설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미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공모를 실시했지만 종합장사시설 후보지 선정에 실패한 바 있다. 당시 신청한 2개 마을의 관련 서류 미비 등으로 적격 신청지를 선정하지 못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